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6. 6. 15. 07:00
고대 카톡 단체방 여학생 성희롱 사건은 처참한 오늘의 현실 대학가에서 성(姓) 문제와 관련해서 논란이 일어나는 일은 솔직히 드문 일이 아니다. 매해 초마다 신입생들이 처음으로 대학에 발을 내딛는 OT 현장에서 비슷한 사건이 입방아에 오르고, MT 현장에서는 술과 성(姓) 문제가 포함되지 않으면 'MT'라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대학가는 좀 번잡하다. 애초에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성 문제를 겪는 청소년들이 많지만, 외부 어른들에게 말하는 일이 어려워서 자기들끼리 속닥거리는 일이 대부분이다. 특히 조금 더 자유롭게 문이 열리는 대학가에서는 이런 문제가 너무 쉽게 발생한다. 당당하게 술을 마실 수 있게 되면서 음주와 엮여 피해가 늘어나는 것이다. 만약 자신이 스스로 원해서 그런 일을 하거나 즐긴다면 모르지만,..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6. 6. 3. 07:30
직업은 단지 다를 뿐, 높고 낮음이 없다. 한국에서 공무원이라는 직업은 어제부터 오늘까지, 그리고 아마 내일까지 많은 사람이 가지고 싶어 하는 이상적인 직업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대기업 임원보다 많은 돈을 벌지 못하고, 스스로 창업하여 사업가가 되어 자기 일을 하는 것보다 보람이 없더라도 일단 무조건 공무원은 최고의 직업이다. 지금 공무원 시험 합격을 목표로 공부하는 사람에게 '왜 공무원이 되고 싶으세요?'이라는 질문을 한다면, 그 사람들은 어떤 대답을 할까? 어릴 때부터 어떤 모습에 감명받아 공무원이 되려고 한 사람은 아주 적지 않을까 싶다. 절대 공무원을 꿈으로 하는 것을 나무라는 건 아니다. 생각해보자는 거다. 장강명의 소설 을 읽어보면 이런 글이 있다. 첫 공판에서 검사가 뭔가를 질문하자 그녀는..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6. 3. 21. 07:30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정직성, 그리고 따뜻한 온도 우리는 어릴 때부터 항상 '남보다 우위에 있어야 한다.'는 말을 부모님과 선생님, 주변 어른에게 들으면서 자랐다. 경쟁과 비교는 우리 사회에서 각자 성공을 판단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자 동기부여를 위한 방법이 되었고, 상대방을 먼저 생각하는 마음보다 일단 자신을 먼저 챙기는 것이 최선이 되었다. 성공에 큰 욕심을 가지고 있는 부모님은 어릴 때부터 아이들을 영재로 만들기 위해서 갖은 수를 다 쓴다. 어릴 때의 교육이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여 영어 유치원에 보내고, 국제 중학교와 국제 고등학교에 보내기 위해서 있는 돈 없는 돈을 투자하고, 좋은 대학을 위해 몇 번이나 재수를 시킨다. 과연 이런 행동이 좋은 행동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10. 17. 07:00
교육에 능력보다 인간성이 더 중요한 이유 최근 우리 사회에서 학생들이 저지르는 많은 일탈 행위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일탈 행위에는 학교에서 벌어지는 단순 폭력을 비롯한 강도, 살인, 성추행 등을 비롯한 특수 범죄로 그 범위가 뻗쳐 많은 사람의 입에서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 많은 어른이 그런 아이들의 범죄 소식을 들을 때마다 "세상 말세다." 혹은 "요즘 아이들은 예의가 없어.", "요즘 아이들은 인간성이 글렀어."라는 말을 자주 한다. 여기서 한 번 곰곰이 생각해보자. 도대체 아이들이 어떤 가르침을 받았길래 그런 비인간적인 범죄를 저지르고도 천하태평 일상 생활을 할 수 있을까? 도대체 왜 많은 어른이 요즘 아이들을 일컬어 "예의가 없다." 혹은 "인간성이 글렀다"고 말하게 된 것일까? 나는 그 원인..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6. 23. 07:36
'아이들에게 짓밟히기 전에 먼저 짓밟아'고 가르쳐, 이게 학교? 요즘 사람들은 지금의 아이들이 학교 내부와 학교 외부에서 일으키는 여러 문제를 보면서 "말세다.", "아이들이 미쳤다.", "도대체 아이들이 왜 저러나?"라고 말하곤 한다. 왜냐하면, 지금 아이들이 저지르는 각종 문제들은 보통 어른들이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수준을 훨씬 넘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아마 굳이 하나하나 자세히 이야기하지 않더라도 이미 많은 사람이 위와 같은 문제를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왜 그런 문제가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난 아마 많은 사람이 지나치게 경쟁을 강요하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아이들 사이에서 인간성이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맞다. 이 이유가 모든 문제를 대변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