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6. 6. 11. 07:30
영화 '마음이 외치고 싶어해'의 완전 소설화, 감동적인 청춘 이야기 사람에게 남는 후회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후회스러운 일 중 하나는 솔직한 내 마음을 어떤 사람에게 전하지 못했을 때라고 생각한다. 좋아하는 사람에게 "좋아해요!"라고 말하지 못하고, 부모님께 "사랑해요!"라고 말하지 못하고, 선생님께 "감사해요!"라고 전하지 못하는 말은 늘 후회가 남는다. 우리가 이런 말을 쉽게 하지 못하는 이유는 솔직한 마음을 드러내는 일이 부끄러운 이유도 있겠지만, 말 한마디를 통해서 상처를 받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어떤 이성에게 "좋아해요!"라고 고백을 했다가 거절을 당하면 도대체 어떤 기분이 들지 상상할 수가 없다. 말로 받는 상처는 무섭다. 어릴 때부터 부모님이 날카로운 목소리로 싸우는 모습을..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4. 12. 15. 07:30
클라라 성희롱 논란, '사람의 말은 차가운 칼이 될 수도 있고, 따뜻한 손이 될 수도 있다.' 우리는 언제나 타인과 대화를 주고받으면서 서로에게 호감을 느끼기도 하고, 때로는 감정이 격해져서 싸우기도 한다. 그리고 우리는 타인이 말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그 사람의 인품을 평가하기도 한다. 아마 말 잘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훨씬 더 빨리 원하는 것을 성취하고, 언제나 인기가 있고, 언제나 사람들에게 호감을 사는 건 바로 거기에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언제나 '말 잘하는 기술'을 터득하기 위해서 노력하는데, 이 과정에서 우리가 종종 놓치는 것이 있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말에는 단지 기술이 뛰어난 것이 아니라 진심이 담겨있다는 사실이다. 아무리 청산유수 같은 말을 하더라도 말에 진심이 담겨..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6. 30. 07:41
어른들의 어떤 말이 아이를 상처입힐까? 우리가 인생을 살면서 배우게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말의 중요성'이라고 생각한다. 이 말은 쓰기에 따라 그 어떤 것보다 사람에게 이로운 특효약이 될 수도 있고, 그 어떤 것보다 사람에게 해로운 독약이 될 수도 있다. 말 한 마디로 죽마고우가 되기도 하고, 한 번의 말 실수로 서로 쳐다보지도 않는 견원지간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말은 정말 중요하다. 이 말은 동등한 입잡에 있는 사람들 관계에서보다 위와 아래가 구분되는 관계에서 훨신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그 위와 아래가 구분되는 관계 중에서도 부모님과 아이, 혹은 선생님과 아이 사이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어떤 말을 하느냐가 아이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더욱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5. 22. 06:57
아이에게 자살충동마저 느끼게 하는 언어폭력 일반적으로 사람이 삶을 살다보면 남이 무심코 내 뱉은 말에 상처를 입었던 경험이 한 두 번쯤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즉, 우리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 '말'이라는 것은 잘 쓰면 우리에게 득이 되지만, 잘못 쓰면 어떤 것보다 무서운 독이 되어 남에게 상처를 주는 수단이기도 하다. 본디, 사람이라는 것이 결코 완벽할 수 없기 때문에, 어쩌다가 한 번씩 말 실수로 남에게 상처를 줄 때가 있다. 어쩌다가 사소한 실수로 말한 독이 된 말이 상처를 주었을 때는 사과를 하고 넘어갈 수 있지만, 작정하고 남을 헐뜯는 말을 할 때는 서로에게 정말 심각한 문제가 된다. 우리는 위와 같은 경우를 '언어폭력'이라고 부른다. 이 언어폭력은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2. 4. 10. 07:31
말 한마디로 당신의 평가가 바뀐다. '독이 되는 말 득이 되는 말'을 읽고…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누군가를 만나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평가하는 시간은 크게 걸리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사람들은 어떤 사람을 평가할 때 '겉모습'을 본다. 깔끔하게 정리해서 입고 다니는지 아니면, 추잡하게 입고 다니는지를 통해서 그 사람이 평소에 어떤 모습으로 생활하고 있는지 추측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의 관계에서 겉모습만 보고 그것으로 끝이 나는 경우는 없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인간관계를 맺는 것은 서로 간에 무엇인가 원하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첫인상으로 겉모습만을 보고 판단하지 않고, 다음으로 그 사람이 어떤 말을 어떻게 하는지로 그 사람을 평가하곤 한다. 바로 이 이유 때문에 '말..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1. 9. 15. 07:33
이케다 다이사쿠 명언 100선, 말의 예술을 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말의 힘이 얼마나 큰 지를 알고 있다. 말 한마디로 사람을 죽일 수도 있고, 살릴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옛 속담에는 '말 한마디로 천냥 빚도 값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우리의 언어행동 하나 하나에 중요한 의미를 담았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말 한 마디로 절망을 하기도 하고, 희망을 얻어서 세상을 살아가기도 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말이 무엇이길래 그토록 힘을 가지는 것일까? 나는 말은 언어의 예술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의 제목에서 사용했던 것처럼 말은 예술이다. 말에 사용되는 언어를 기초로 해서 우리는 스피치로 그 예술을 만들고, 타인에 불과했던 사람들을 연인으로 만들거나 친구로 만들고, 때로는 철천지 원수로도 만든다. 그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