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0. 7. 29. 13:10
세상에서 가장 배부른 빵 최근 내가 재미있게 보고있는 드라마가 있다. 바로 ' 제빵왕 김탁구 ' 라는 드라마이다. 처음에는 보지 않았었는데, 아주 우연한 계기로 보게되어 그 재미에 완전히 빠져버렸다. 스토리상의 전개도 흥미진진하고, 무엇보다도 빵이라는 제재가 흥미를 끌기 때문이다. 사실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지만, 내 친구왈 ' 제빵왕 김탁구는 따끈따끈 베이커리 애니를 모델로 해서 만든거다 ' 라고 하더군요. 가만 생각하면서 보니 약간의 그런 기질이 보이기도 합니다. ( 여기서 따끈따끈 베이커리는 한 소년이 일본의 빵 '재빵'을 만들며 성장해가는 스토리 입니다 ) 하지만 역시나 한국 드라마의 굴레라고 해야할까요. 한국의 드라마답게 , 순수하게 빵을 만들여 성장해나가는 모습이 아닌 또 복잡하고 더러운 문제..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0. 7. 10. 13:45
애니메이션 드라마보다 해(害)가 아니다. 아이들에게 '만화 보지마라'고 말하지 않은 적이 없는 부모들은 아주 드물것이다. 하지만, 그 부모들은 아이들과 함께 드라마를 보곤 한다. 드라마와 만화 도대체 무슨 차이가 있길래, 드라마는 같이 봐도 되고 만화는 안되는 가? 드라마를 매번 챙겨보는 이들에게 물어보고 싶다. '드라마가 왜 만화보다 더 좋다고 생각하냐? 왜 만화나 애니매이션은 보지말라고 하면서 드라마를 볼 때는 아무말도 안하고, 같이 보는가?' 물론, 이제부터 쓸 나의 의견은 나의 주관이 많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의견은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내가 말하는 드라마는 '대조영','이순신' 같은 도움이 되는 드라마가 아니라, 쓸데 없이 방영하는 드라마를 애기하는 것임을 분명히 말해준다. ' 드..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0. 5. 18. 09:47
나는 우리 20대가 자랑스럽다. 우리 20대들은 기성세대가 보기에 문란하고, 정체없이 떠돌기만 하는 그런 세대로 보인다. 사실, 그런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잡종스런 삶을 충실히 살아가는 잡종들도 상당히 많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우리 20대들은 기성세대와 다른 방향에서 우리 스스로를 잘 변화시키고 성숙시켜왔다고 생각한다. 탐진강님의 글을 보면서 내가 쓸려고 했던 글을 대폭적으로 수정하여 쓰게 되었다. (이 글의 사진들은 탐진강님의 블로그에서 가져왔다.) 내가 중-고등학교 사회수업시간에 배울 때 언제나 있었던 항목이 있다. ' 투표율 점차 감소 ' 라는 항목이다. 게다가 20대들은 특히나 더욱더 낮았다. 수업시간마다 이 항목을 보면서 ' 왜 20대들은 투표를 안하는 것일까? ' 하며 이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