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3. 6. 9. 08:01
이나모리 가즈오의 인생·성공 특강, 어떻게 일하고 어떻게 살 것인가 누구나 어떤 사람이 사는 삶의 모습이나 책을 통해 읽을 수 있었던 어떤 인물의 이야기나 어떤 인물의 강의를 통해 인생이 크게 바뀌기도 한다. 나도 그랬다.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건 삶을 포기하고 있던 내게 희망을 준 애니메이션이지만, 그 뒤로 삶을 똑바로 살 수 있도록 해준 건 좋은 선생님과의 만남과 책을 통해 만날 수 있었던 좋은 멘토들과의 만남이었다. 특히 가장 최근에 많은 영향을 받은 건 왜 일하는가, 인생에 대한 예의, 좌절하지 않는 한 꿈은 이루어진다 세 권의 책을 통해 간접적으로 만날 수 있었던 이나모리 가즈오이다. 이나모리 가즈오는 일본에서 살아있는 경영의 신으로 불리며, 그가 강의를 할 때마다 많은 사람이 찾아온다. 또한..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3. 6. 8. 07:00
천재 포커 이태혁이 말하는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서 승리자가 되는 관계술 인간관계. 우리는 누구나 삶을 살면서 자신만의 네트워크 속에서 인간관계를 형성해나간다. 이 인간관계는 나이에 상관없이 유치원 때부터 시작하여 초·중·고등학교를 거치며 조금씩 더 확고히 다져지기 시작하고, 대학교를 졸업한 뒤에 나가는 사회에서도 별다르지 않다. 어디를 가더라도 이미 인간 네트워크가 구축된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으며, 그 속에서 고민하거나 다투거나 슬퍼하거나 좌절하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다. 어릴 때부터 부모님께서 우리에게 '친구를 잘 사귀어라'고 말하는 건 이 인간관계는 어릴 때부터 어른이 될 때까지 그 중심을 이루는 사람이 크게 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 말을 믿지 못할지도 모르겠지만, 지금 자신의 주변에 있는 사..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3. 6. 6. 07:00
담배보다 나쁜 독성물질 전성시대, 내 아이 몸에 독이 쌓이고 있다 클렌징을 이용하여 세수를 하고, 바디 샴푸를 이용하여 샤워를 하고, 샴푸와 린스를 이용하여 머리를 감고, 삼각김밥과 라면, 햄버거 등으로 끼니를 때우고, 합성 세제로 설거지를 하고, 길거리를 걸어 다니며 간접흡연 속에 노출되고, 썩은 환경에서 술을 마시고, 오고 갈 때 자동차의 배기가스를 마신다. 이런 생활은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생활이다. 우리는 이런 생활을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지만, 이 생활방식은 우리에게 썩 좋지 못한 생활방식이다. 편리함 때문에 이런 생활 방식을 고수하는 경향이 짙지만, 우리가 하는 생활 방식을 통해 얼마나 우리 몸에 악영향이 미치고 있는지 알게 된다면… 과연 우리는 이 생활 방식을 유지할 수 있을까? 아마 어렵..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6. 4. 07:00
[강연100℃] 정주영, 콩으로 건강을 되찾다 우리 한국에서는 정말 외모 지상주의가 강하다. 아마 굳이 내가 여러 이유를 말하지 않더라도 외모로 많은 차별이 있다는 사실을 이미 많은 사람이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얼마 전에 보도되었던 'SBS 스페셜 양악수술'편을 통해서도 전 세계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모를 위해 턱을 깎는 위험한 수술을 거리낌 없이 한다고 전해졌다. 강남을 관광하고 돌아가는 외국인들도 "강남에서 파는 명품은 진짜(Real)이지만, 강남에서 본 사람들은 가짜(Fake)였다."고 말할 정도로 우리나라의 외모 지상주의가 말미암은 성형은 정말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런 사회환경 속에서 뚱뚱하거나 남과 다른 조금 특이한 외모를 지닌다면, 우리는 '다르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거침없는 공격을 받..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6. 3. 07:00
[강연100℃] 개그계의 달인 김병만, 실패할 수도 있다 우리는 모두 실패를 무척이나 싫어한다. 실패를 좋아하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실패를 두려워해 도전조차 하지 않는다면, 그건 실패를 하는 것보다 더 좋지 못하다. 누군가는 '그냥 현상유지가 좋지.'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아니다. 그렇지 않다. 실패가 두려워 현상 유지를 하려는 사람들은 오히려 더 나빠지기 일쑤다. 상황은 바뀌고 있는데, 아무것도 하지 않으니까. 그런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실패하는 사람은 그 실패를 통해 한 걸음 더 앞으로 내디딜 수 있게 되고, 결국 그 손에 '성공'을 쥐게 된다. 그게 성공하는 사람과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의 결정적인 차이다. 지난주 강연100도씨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개그맨 김병만이 출연했다. 그는 지금 성..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3. 6. 2. 07:30
태도의 차이, 마이클 샌델에서 존 헌츠먼까지 일가를 이룬 거인들의 위대한 인생특강 "성공하려면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어떻게 하면 부자가 될 수 있나요?" 위 두 질문은 현시대를 사는 많은 사람이 항상 답을 얻고 싶어하는 질문이다. 세상에서 성공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디에 있겠으며, 부자가 되어 편안한 삶을 살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딨겠는가? 지금 이 글을 쓰는 나도 성공하고 싶고, 부자가 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아마 지금 글을 읽는 독자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그렇게 두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많은 책을 읽고, 많은 명사의 인생특강을 듣는다. 이런 질문을 많은 사람에게 하다 보면, 어떤 사람은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부를 잘해야 한다.", "빽이 있어야 한다." 등의 답을 ..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3. 5. 26. 07:30
'문제는 호감이다', 똑같이 말해도 왜 누구는 호감이 있고, 누구는 호감이 없을까? 사람이 어떤 사람에게 묘한 이끌림을 느끼는 감정을 가리켜 우리는 '호감'이라고 한다. 똑같은 상황에서 똑같은 말을 하더라도 다른 반응이 나오는 건 그 사람이 가진 매력이라고 할 수 있는 호감이 다르기 때문이다. 뭐, 여기서 호감은 잘생긴 외모, 큰 키, 아름다운 몸…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할 수 있겠지만, 가장 근본적으로 작용하는 건 그 사람이 가진 인간성이다. 우리가 외모가 특별히 뛰어나지 않아도 왠지 끌리는 사람이 있는 건 그 사람의 인간성이 좋아 많은 사람에게 호감을 사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렇게 다른 사람의 마음을 잡을 수 있는 호감이 있는 사람을 가리켜 매력녀, 매력남이라고 부른다. 솔직히 나는 그런 매..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3. 5. 21. 07:00
두 명만 모여도 꼭 나오는 경제 질문에 선대인연구소가 대한민국 오천만에게 답하다 최근 들어서 많은 사람이 하는 걱정과 고민은 크게 다르지 않다. 바로 '어떻게 하면 잘 먹고 잘 살 수 있을까?'라는 걱정과 고민이 아닐까? 지금 당장 20대인 나도 '앞으로 우리 경제는 내가 사는 데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까?'는 걱정부터 시작하여 '이 같은 경제 상황 속에서 살아남으려면 무엇을 해야 하나?'는 걱정이 앞선다. 누구는 쓸데 없는 걱정이라고 말할지도 모르겠지만, 자신의 삶을 똑바로 생각하며 사는 사람은 모두 한결같이 이 같은 고민 속에서 답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굳이 전문가가 아니라도 한국 경제는 만성 위기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산더미처럼 부풀어 오른 부동산 거품과 가계부채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