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니지 M 사행성 논란, 어떻게 봐야 할까

반응형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 속 사행성 조장 논란


 아침 밥을 먹으면서 뉴스를 보다가 인기 모바일 게임 <리니지M>이 사행성 논란에 휩싸여 있다는 보도를 접했다. 뉴스를 보면서 흔히 '과금'이라고 말하는 게임에 현금을 투자하는 행위가 상상을 초월하는 레벨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평범한 사람은 좀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이야기다.


 사실 국내 온라인 게임에서 과금 이야기는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현실에서 금수저와 흙수저로 나누어지는 것처럼, 온라인 게임 내에서도 금수저와 흙수저가 존재한다. 금수저는 게임에서 과금을 통해 레어 아이템을 손쉽게 구매해 사용하고, 흙수저는 기본 아이템 수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한다.


 그런데 이 불평등을 깰 수 있는 아이템 중 하나가 게임 회사에서 판매하는 흔히 사행성 아이템으로 불리는 랜덤 박스 같은 상품이다. 아주 낮은 확률로 과금 유저가 막대한 돈을 투자하여 구매하는 값 비싼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상품을 판매하는 거다. 당연히 유저들은 작은 욕심으로 이 상품을 구매한다.


 평범한 사람은 그냥 호기심으로 한두 번 정도 구매하는 데에 그친다. 하지만 지나치게 게임에 빠진 사람은 랜덤 박스 같은 사행성 상품을 통해서 대박을 꿈꾸며 무리해서 돈을 투자한다. 아무리 낮은 확률이라는 걸 알고 있어도 '혹시나' 하는 마음이 사람의 욕심을 부추긴다. 마치 합법적인 도박처럼….



 JTBC에서 취재진이 만난 어떤 유저는 1000만 원을 투자했는데도 좀처럼 좋은 아이템을 건지지 못해 자살까지 생각했다고 고백했다. 단순히 게임에 천만 원에 이르는 돈을 쓴다는 사실이 눈을 의심하게 하지만, <리니지 M>에서는 아이템 현금 거래가 일어나기 때문에 가능한 이야기다.


 확률에 의존하는 랜덤 박스 형식의 상품은 운이 좋으면 아주 적은 금액으로 몇 배, 몇천의 이익을 거둘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런 랜덤 박스 형식의 상품을 낭비라고 생각하지 않는 데다가 투자라고 생각하는 경향도 있다. 마치 로또 복권 같은 상품이지만, 구매에 제한이 없는 거다.


 <리니지 M>의 엔씨소프트에서 공개한 확률표에는 가장 희귀한 아이템을 뽑을 확률은 0.0001%에 불과했다. 이건 사실상 주지 않겠다는 의미이지만, 혹시 주변에서 사행성 아이템을 구매해서 조금이라도 희귀한 아이템을 뽑았다는 소문이 퍼지면 사람들은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구매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리니지 M>만의 문제가 아니다. 국내의 많은 모바일 게임과 온라인 게임에서 비슷한 문제는 어디에나 있다. 대학 개강을 하면서 끊은 넥슨의 온라인 게임 <바람의 나라>에도 매달 한 번씩 사행성 아이템으로 부를 수 있는 상품이 현금으로 판매된다. 이것도 당연히 <리니지 M>과 같다.


 일정한 확률로 희귀한 아이템을 주는 랜덤 박스 형식의 아이템은 30개 세트를 총 2~3번은 구매해야 하는 부속 아이템도 함께 판다. 유저들이 더 구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어 놓는 거다. 더욱이 SS급, S급 아이템은 서버 내에서 모두가 볼 수 있도록 공지된다. 사람들의 사행성을 조장하는 거다.



 하지만 게임 회사는 절대 사행성 조장이 아니라고 말한다. 당연하다. 회사가 사행성 조장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면, 사행성 조장이 아니라 도박을 조장하는 행위가 되어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내가 한 게임<바람의 나라>에서는 <리니지 M> 같은 대단한 인기는 없었다.


 <리니지 M>처럼 몇천에 이르는 금액을 투자하는 사람은 보지 못했지만, 몇십만 원을 투자하는 사람을 보는 건 어렵지 않았다. 이 글을 쓰는 나도 한때 8만 원 정도의 금액을 투자했다가 망한 적이 있다. 가망이 없다는 걸 알아도 때때로 이익을 본 적이 있어 쉽게 욕심이 버려지지 않는 게 사람이다.


 갬블 혹은 사행성이라는 말은 바로 이럴 때 붙이는 것이 아닐까? 그런데 게임 회사도 어쩔 수 없는 이유가 분명히 있다. 유료가 아니라 무료로 게임을 배포하면서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현금으로 구매할 수. 있는 아이템을 만들어 판매해야 하고, 랜덤 박스 형식의 아이템은 가장 좋은 수익원이기도 하다.


 문제는 청소년도 이용할 수 있는 게임에서 랜덤 박스 형식, 즉, 사행성 아이템을 만들어 판매하며 이익을 얻는다는 점일 것이다. 아파트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가다가 남자 고등학생들이 "내 이번에 딱 10만 원만 쓰려고. 뜨면 대박이잖아!"라며 사행성 아이템 구매를 하려는 모습을 보았다.


 나는 "너희도 넥X 게임 하냐? 그거 하지 마. 안 나와. XXX들."이라며 말렸지만, 역시 게임 유저는 그 사실을 알더라도 눈빛에서 욕심을 버리기 어렵다. 오죽하면 게임 유저들 사이에서 "게임 회사 직원부터 사장까지 랜덤 박스로 월급 100원부터 100억까지 줘야 한다."는 말이 번번이 나오겠는가? (웃음)


 현실 속의 금수저와 흙수저가 그대로 게임의 과금 형태에서 나타나고, 그 형태를 극복하기 위해 마치 복권처럼 만들어진 랜덤 박스 형식의 사행성 조장 아이템. 오늘 글을 마치면서 이 글을 읽는 독자에게 묻고 싶다. 당신은 온라인 게임, 모바일 게임에서 판매되는 이 사행성 조장 아이템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