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7. 5. 5. 07:30
어릴 적 태극기 앞에 섰던 그 시절, 나는 아무것도 몰랐다 내가 초등학생일 때는 매주 한 번씩 운동장에 나가는 일이 있었다. 그때마다 학교 운동장에서 태극기를 보면서 멋도 모르는 태극기 맹세를 했다. 이 태극기 앞에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하겠다는 그 맹세. 어릴 적의 나는 아무것도 모른 채로 애국 아닌 애국을 했고, 태극기 앞에서 왼쪽 가슴에 손을 올렸다.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은 가지는 일은 우리에게 당연한 일이다. 어릴 적의 나는 한 번도 애국심을 의심해본 적이 없었고, 먼저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의심치 않았다. 모두가 당연하게 태극기를 바라보며 숙연해지듯이, 그 작은 가슴으로 나는 '대한민국 만세!'를 소리 없이 외치며 초등학교를 졸업했다. 하지만 머리가 커지면서 나는 점점 이 당연한 일이 ..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7. 3. 20. 07:30
역사와 현실 정치를 공부하는 프로그램, 차이나는 클라스 헬 조선이라는 말은 쪽박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조금만 위에서 태어났다면 우리는 개인의 자유가 거의 보장되지 않는 나라에서 더 괴로워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우리가 사는 한국은 대박이라고 생각한다. 공정하지 못한 사회에서 차별을 당하기도 하지만 나름 잘 살아가고 있으니까. 한국에 태어나서 좋지 않은 일도 있었지만, 좋은 일이 있었다는 점도 분명하다. 오늘 갑작스럽게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지난 일요일에 방송된 의 주제가 '국가'였기 때문이다. 유시민 작가와 게스트가 함께 나누는 질문과 토론을 통한 이야기는 오늘 한국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야기 시작은 ''국가' 하면 떠오르는 것'이라는 주제였다. 조승연 작가는 국가를 느끼는 유..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7. 3. 1. 07:30
3.1(삼일절), 불의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었던 태극기 앞에 서기 부끄럽다 우리나라의 태극기는 많은 민중과 희로애락을 함께 한 존재다. 일제 강점기를 벗어나 독립할 때까지 많은 독립운동가가 태극기를 피로 묻히며 하늘로 떠났다. 일제 강점기 이후 찾아온 독재 정권에 저항한 많은 민중이 태극기로 굵은 피땀을 닦으며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지켜내며 세상을 떠났다. 그렇게 힘겨운 아픔을 이겨낸 태극기는 1988년 서울 올림픽과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새로운 상징이 된다. 태극기는 저항의 상징이 아니라 이때 온 거리를 수놓으며 우리에게 가장 자랑스러운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 월드컵과 WBC, 올림픽 등 국가 대표전이 열릴 때마다 우리는 태극기를 흔들었다. 그러나 삼일절을 맞이한 오늘, 우리는 태극기를 더는 자..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6. 12. 20. 07:30
태극기와 애국가를 오남용하는 보수단체는 당장 그 행위를 그만둬라! 지난 토요일 광화문 광장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지지하는 촛불 집회와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거부하는 촛불 집회가 동시에 열렸다.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지지하는 시민들은 우리가 계속해서 본 상식을 원하는 시민들이지만, 그에 반대하는 세력은 다소 문제가 있는 시민들이었다. 지금 내가 이렇게 이분법적인 논리로 말하는 게 솔직히 옳지 않게 보일 수도 있다. 어떤 시민의 집단은 문제가 없다고 말하고, 어떤 시민의 집단은 문제가 있다고 말한다면 이건 어디까지 편견이기 때문이다. 솔직히 나 또한 이런 편견에서 자유롭지 않고, 오로지 내가 느끼는 대로 말할 뿐이다. 하지만 조금 더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우리는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반대하고, 진..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8. 17. 07:30
나라를 사랑하기 위해서 우리는 먼저 나라를 알아야 한다. 지난 8월 15일 광복절은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이루어냈던 날을 기념하는 날이었다. 그런데 이 8월 15일 광복절을 가리켜 공영방송 KBS의 이사장은 '광복절이 아니라 건국절이다.'이라는 말을 하는 것부터 시작해 '김구는 공로자가 아니다.' 등 막말을 했다고 한다. 김구는 남과 북이 하나로 되는 통일을 원했었는데, 남한 단독정부를 원했던 이승만과 그를 지지했던 사람들에게는 이단에 불과했다. 이 방향으로 김구를 보면 확실히 김구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공로자'로 볼 수 없지만, 그건 상해 임시정부부터 시작한 우리나라의 현대적 모습을 부정하는 일이 된다. 과거 친일을 통해 친미로 물을 갈아 탄 사람들은 김구를 비롯한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2. 25. 07:30
정부의 국기 게양·하강식 부활 논란, 아직도 지금 정부는 과거를 꿈꾸고 있는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이런 응원 소리를 우리는 지난 아시안컵 시합 동안 곧잘 들을 수 있었고, 모두가 우리나라의 대표로 활약하는 선수들을 진심으로 응원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특히 호주와 결승전에서 손흥민이 후반 추가 시간에 극적으로 동점 골을 넣을 때는 아파트 내에서도 "와아-!!" 하는 함성이 들릴 정도로 많은 사람이 열렬한 응원을 보냈었다. 이 이외에도 우리는 우리가 응원하는 야구팀이 시합할 때마다 해당 팀의 유니폼을 입고, 테이블에 앉아 치킨을 먹으면서 "NC 다이노스! NC 다이노스!" 같은 응원을 하고는 한다. 누가 강제로 시킨 것도 아닌데 우리가 이런 행동을 하는 이유는 어떤 무리에 속해서 같은 즐거움을 ..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0. 7. 4. 21:52
역시나 수호신 임창용 임창용 15세이브 달성 야쿠르트의 수호신 임창용이 또 다시 세이브를 올렸습니다. 이것으로 통산 15번째 세이브, 야쿠르트는 2회, 4회 말 1점씩을 얻어 2:0 으로 주니치를 앞서고 있었다. 하지만 6회 주니치에게 2점을 내주면서 동점이 되었다. 8회말 야쿠르트의 용병 화이트셀이 2타점 적시타를 터트리며 4:2로 역전을 이루어냈다. 이어진 9회에 올라오는 것은 당연히 야쿠르트의 영원한 수호신 임창용이었다. 임창용은 9회 1이닝 동안, 삼진2개 땅볼1개로 삼자범퇴처리하며 깔끔하게 막아냈다. 역시나 임창용이기 때문에, 야쿠르트 팬들도 한글로 적은 플랜카드를 들고 응원하고, 태극기를 들고 임창용을 응원하는게 아닌가 싶다. 지바롯데의 김태균은 70타점을 기록했다고 한다. < 눈에 불을 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