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반응형

 내가 공상 SF 소설을 읽었던 마지막 날은 언제인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평소 애니메이션, 라이트 노벨, 만화책 등의 장르를 통해서 판타지 이야기는 자주 읽었지만, 오랜만에 한국 문학 소설을 통해서 SF 장르를 그린 소설을 만났다. 책의 제목은 바로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었다.


 처음에 나는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라는 소설이 SF 소설인지 몰랐다. 부산에서 아는 형이 하는 북클립 활동을 통해 이 책을 만나게 된 건데, 나는 처음에 이 작품이 평범한 현실을 무대로 해서 이야기를 그리는 책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첫 번째 이야기에서 깜짝 놀라고 말았다.


 ‘도대체 어떤 이야기를 그리고 있는 걸까?’라는 호기심 하나로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라는 제목의 첫 번째 이야기를 읽었다. 제목에서 볼 수 있는 순례자는 우리가 흔히 종교에서 사용하는 ‘순례자’ 개념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야기를 읽다가 ‘지구로 온’이라는 묘사에서 깜짝 놀라고 말았다.


 나는 거기서 이 작품이 지구, 우리가 사는 세계와 시대를 무대로 하고 있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 다소 낯설다는 느낌을 받으면서도 호기심을 가지고 책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의 첫 번째 이야기인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를 읽으면서 깊이 책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라는 책은 SF 소설이지만 묘하게 시선을 사로 잡는 그런 매력이 있었다.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SF 소설 같은 경우는 우주를 무대로 여행을 하거나 혹은 신나고 화려하게 펼쳐지는 블록 버스터 액션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그게 오락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은 SF 소설이지만 화려한 액션이나 박진감이 넘치는 전개는 전혀 볼 수 없었다. 대신 이 책이 그리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한 번쯤은 상상하게 되는 있을 법한 미래다. 그 미래에서 우리는 어떤 문제를 맞닥뜨리고 어떤 윤리적인 고민을 해야 하는가.


 거기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어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읽고 있으면 괜스레 사고가 허튼 생각하는 일 없이 이야기에 몰입하는 느낌이었다. 아마 이러한 신기한 상태는 직접 책을 읽어보지 않는 이상 알 수 없다고 생각한다. 전혀 화려하고 박진감이 없어도 저절로 책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의 첫 번째 여는 이야기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는 오늘날에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유전자 게놈 연구를 소재로 하고 있다. 한 명의 뛰어난 재능을 지닌 과학자에 의해서 유전자 조작을 통해 유능하고 병도 잘 걸리지 않고 수명도 긴 인류에 대해 말한다.


 하지만 보통 이런 유전자 조작 시술은 역시 ‘실패작’이 있을 수밖에 없고, 자본의 유무에 따라 조작 시술을 받을 수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이 나누어지기 마련이다. 당연히 이거는 하나의 차별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되어 서로를 분리하고, 또 서로를 적대시하며 혐오의 감정을 부딪히는 요인이 된다.


 지금 한국 사회는 임대 아파트에 사느냐, 매매 아파트에 사느냐, 혹은 빌라에 사느냐 전세에 사느냐 월세에 사느냐 등의 거주 환경에 따라서 서로를 분리해 차별하고 혐오의 감정을 부딪히고 있다. 어리석게도 사람은 자신의 낮은 자존감을 그렇게 남을 깔 보는 형태로 채우려고 하는 짓을 벌이고 있는 거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에서 읽어볼 수 있는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첫 번째 이야기는 유전자 조작 시술의 실패작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이 사는 곳과 그렇지 않은 곳, 그리고 반대로 또 하나의 지구 밖의 마을을 상정해서 차별 없이 자란 사람들의 모습을 기묘하게 그리고 있다.


 어떻게 본다면 다른 것에 대해 차별 없이 모두가 서로를 인정하는 세계인 마을을 벗어나 지구에서 괴로움과 차별을 마주하며 살아간다는 건 힘든 일이다. 하지만 다름을 모른 채 살아간다는 건 다른 의미로 슬프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서로 다르기에 끌리고, 아파하고, 사랑할 수 있는 것이니까.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의 첫 번째 이야기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의 화자인 데이지는 소피에게 보내는 편지 끝에 “그때 나는 알았어. 우리는 그곳에서 괴로울 거야. 하지만 그보다 더 많이 행복할 거야.”라고 말한다. 괴롭지만 더 행복한 게 바로 다양한 사람이 살아가는 인생이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하면서 마지막 장을 읽을 수 있었던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라는 제목의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에서 기묘한 감상을 하면서 생각에 빠졌던 나는 차례차례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의 이야기를 읽었다. 책에 실린 짧은 이야기 하나하나가 모두 호기심과 생각을 자극해 재밌었다.


 오랜만에 오락과 다른 형태의 SF 소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나는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스펙트럼’, ‘공생가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총 네 개의 이야기를 읽었다. 아직 세 개의 이야기를 더 남겨두고 있지만, 오늘은 이쯤에서 글을 한 번 써보고 싶었다.


 만약 당신이 평소 SF 장르 소설을 좋아한다면, 혹은 깊이 몰입하는 책 읽기를 좋아한다면, 김초엽의 소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한번 읽어보기 바란다. 아마 오랜만에 SF 소설을 읽는 사람들도 저자가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과 메시지에 책을 깊이 읽어볼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