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8. 8. 31. 07:30
약간은 불편할 수도 있는 욕망을 거칠고, 사실대로 표현한 영화 '상류사회' 어제에 이어서 오늘도 가까운 극장을 찾아 영화 을 보았다. 영화 는 개봉 전부터 상당히 많은 말이 있던 영화다. 한국 영화에 일본 AV 배우 하마사키 마오가 출연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도대체 노출이 어디까지 있는 것이냐?’라는 호기심 섞인 이야기가 상당히 많이 나왔다. 나는 그녀의 이름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지만, 상류층으로 가고 싶은 사람들의 욕망을 그린 영화에서 AV 배우를 출연시킬 정도로 자극적으로 그린 노출 장면이 궁금했다. 이 궁금증은 당일 영화 을 보면서 풀 수 있었다. 노출 장면은 확실히 사람들이 논란을 일으킬 정도로 강도가 셌다. 하지만 나는 이러한 장면이 영화 중간중간에 등장하면서 이야기 전개를 방해했다고 생각하..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5. 8. 21. 07:30
아직도 부동산 거품을 키우느라 서민의 생계는 나 몰라라 하는 정부 지난 수요일(19일)에 방송되었던 드라마 에서는 정부의 부동산 경제 활성화 법안에 반대하는 진상필 의원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부동산 경제 활성화 법안은 드라마 내에서 존재하는 허구에 불과한 법안이 아니라 현실에서도 존재하는 법안이라 상당히 공감하면서 드라마를 볼 수 있었다. 현재 우리 한국 사회에서 박근혜 정부를 비판하는 키워드 중 하나는 '빚내서 집 사라고 하더니, 이제는 빚내서 집 사라고 한 적이 없다고? 장난하냐!?'가 아닐까. 부동산 정책으로 서민을 우롱하는 정부의 정책은 드라마 이상으로 우리가 갑갑한 현실을 되돌아보게 한다. 아마 지금 이 글을 읽는 사람 중에서 내 집을 마련한 사람도 있을 것이고, 마땅히 내 집 없이 월세 혹..
일상/사는 이야기 노지 2014. 12. 11. 07:30
책 한 권을 더 사기 위해 밥 한 끼를 더 굶는 저, 비정상인가요? 사람들은 그 사람의 돈을 쓰는 스타일을 보면 그 사람의 성격만이 아니라 그 사람이 어느 정도 돈을 모을 수 있는지 엿볼 수 있다고 한다. 지난주에 소개했던 《알리바바 마윈의 12가지 인생강의》에서 읽을 수 있었던 '알리바바' 사원들은 비싼 중형 택시를 보내고, 좀 더 저렴한 소형 택시를 타고 여기저기 다닌다고 한다. 마윈도 마찬가지로 비행기보다 버스와 열차를 이용한다고 한다. 부자들은 이상하리만큼 돈을 쓰는 데에 정말 각박하다. 그래서 그들은 부자가 된 것이 아닌가 싶다. 우리는 돈이 많으면, 그만큼 돈을 쓰는 게 정상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들은 그렇지 않다. 그들이 계속 부자로 남을 수 있는 이유는 바로 거기에 있다. 벼락부자만이 부자가..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4. 10. 24. 07:30
김연아를 CF 모델로 활용했던 동서 식품의 신뢰를 땅에 떨어뜨린 신의 한수 요즘 우리가 사는 세상을 가리켜 '불신의 세상'이라고 말하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다. 정말 그렇게 말해도 과언이 아닌 게 우리가 사는 세상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쓰는 카카오톡을 정부 기관이 감시하고, 홈○러스나 메○마트는 이벤트로 모은 개인정보를 팔고, 여성가족부의 변호사는 변호를 맡은 피해자의 가족에게 돈을 갈취하고, 군대는 괴롭힘으로 자살한 병사를 정신이상자로 몰아붙인다. 이게 우리가 사는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이 붙은 나라의 모습이다. 이런 모습만이 아니라 정말 따뜻하고, 사랑이 넘치는 이야기도 분명히 주변에 존재할 거다. 그런데 한두 가지에 그치지 않고, 한두 번에 그치지 않는 이런 욕이 나오는 행동은 우리가 나라와 사..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3. 11. 28. 07:30
정치와 가치 충돌의 소용돌이 중심에 있는 대한민국, 어쩌면 정의가 없을지도 모른다 지금 우리 대한민국에서는 안팎으로 정말 많은 문제로 갈등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일본과 중국은 역사 왜곡을 통해 우리나라 역사를 부정하고 있고, 우리 대한민국 내에서는 대통령 불법 선거 여파로 선거 자체를 부정하는 움직임이 크게 일어나고 있다. 애니메이션 《원피스》에 나오는 시대적 배경인 '대해적시대'라도 이 정도로 많은 움직임이 한 번에 일어나면서 국가 자체를 흔들고 있는 건 볼 수 없었다. 허구보다 더 허구 같은 일이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대한민국. 우리는 이 대한민국에서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 걸까. 우리 대한민국에서 지금의 충돌을 가장 크게 만든 건 국정원 선거 개입 사건이 밝혀졌음에도 그에 따른 합당한 책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