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6. 5. 18. 07:30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기념일을 맞아 적는 20대 대학생의 작은 한탄 오늘 5월 18일은 광주 민주화 운동 기념일이다. 많은 사람이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 목숨을 잃어버렸지만, 아직도 정치적 의도가 개입되어 '북한에 의한 폭동'이라는 억울한 말을 종종 듣고 있다. 어긋난 정치에 저항해 산 자와 죽은 자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서 많은 사람이 애쓰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번에도 5월 18일 광주 방문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박근혜 대통령의 3년 연속 광주 민주화 운동 불참은 우리에게 많은 메시지를 던진다. 지금도 국론이 분열된다면서 임의 행진곡 제창을 불가능하게 한 모습은 '민주화 운동이 대단히 불편한 사람'으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떳떳한 한국의 시민으로 있기 위해서 나는 박근혜 대통령의 이런 모습..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11. 4. 07:30
금수저 흙수저 논란, 하지만 맨손인 사람은 어떡하나 우리는 어릴 때 한 번은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을 들어보았다.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 열심히 공부해서 행정고시, 혹은 사법고시 같은 시험에 합격해서 고위 공무원이 되거나 좋은 대학교를 통해서 대기업에 취업하는 일을 우리는 '개천에서 용 났다.'라고 말한다. 그런데 요즘 우리가 사는 세상은 그런 말이 통하지 않는 세상이다. 제아무리 발버둥을 치더라도 아무것도 손에 쥐지 못한 사람이 몇 년이 걸리는 고시 공부를 통해서 고위 공무원이 되는 일은 어려워졌다. 더욱이 대학을 나와 대기업에 취업하는 일은 밤하늘의 별을 따는 것만큼 어려워졌다. 현재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가진 자의 세습에 의해서 용이 결정되는 세상이다. 부모가 손에 쥔 금수저를 물고 태어나지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10. 13. 07:30
한국인은 미쳤다? 절망이 익숙한 나라? 부정할 수 없는 현실 지금 우리 한국이 연신 소음으로 인상을 찌푸린 사람들의 모습이 보인다. 지난 토요일부터 시작한 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 넥센과 두산의 경기의 영향도 있겠지만, 운동장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발생한 논란이 그 원인이다. 심지어 여기저기서 '말세다, 말세!'이라는 말이 심심찮게 나온다. 우리 한국 사회가 이렇게 시끄러운 이유는 정부가 주도하려고 하는 국정 교과서 제도 때문이다. 도대체 국정 교과서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하자면, 정부의 주도로 교과서를 발행한다는 뜻으로, 북한을 비롯한 일부 독재 국가와 아직 권위주의 정부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 나라의 교과서다. 이런 국정 교과서는 획일화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과거 일제 강점기 시절에 일본이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1. 12. 07:30
청동기 시대 고인돌 유적을 포기하고, 레고 랜드를 세운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우리는 모두 역사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역사 유물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역사 왜곡에 대해 강력히 비판을 한다. 한국과 일본, 중국은 역사를 두고 서로 대립을 자주 해왔다. 일본에서 일어나는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잘못된 역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한국과 중국은 이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그 비판의 시선을 우리에게 돌려보자.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과연 이런 역사 왜곡과 논란에서 자유롭다고 말할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역사 왜곡은 지금도 현재진행형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