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12. 29. 07:30
외면해서는 안 되는 우리가 잘 모르는 아동 학대, 우리 주변은 괜찮을까요? 크리스마스 연휴가 끝나면서 들뜬 분위기가 가라앉을 틈도 없이 다시 한 해의 마지막 날이 다가오면서 여전히 사람들 사이에서는 '올해가 얼마 남지 않았다. 곧 새해가 와!'라는 말이 오가며 분위기는 여전히 붕 떠 있는 느낌이다. 이맘때는 역시 아무리 나라고 해도 약간의 설렘을 느낀다. 이렇게 즐거운 분위기로 사람들의 마음이 조금 들떠 있을 때, 우리는 아주 충격적인 소식을 뉴스를 통해 접하라 수 있었다. 바로 한 초등학생이 아동 학대를 당한 사건이다. 그 초등학생은 부모님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서 탈출을 두 번이나 시도해서 겨우 구출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았다. 크리스마스가 오기 전에 탈출에 성공한 박 모양은 현재 지원을 받으면서 병..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1. 16. 07:26
가정환경과 가정형편은 어떻게 교육에 영향을 미칠까? 짧은 기간동안 많은 화제가 되면서 교육의 재검토성을 많은 사람에게 일깨워주었던 '학교폭력'사건은 단기간에 걸쳐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 아주 예전부터 장기적으로 일어난 일이었다. 그럼에도, 그러한 사건들이 사람들에게 '문제'로 인식되지 못한 것은 학교나 밖에서 일어나는 교육과 관련된 문제만이 아니라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교육'과 관련된 문제를 사람들이 '문제'로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옛말에 '가정이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는 말이 있다. 그 말처럼, 아이의 교육에 있어서도 가정교육이 바로 서야지만, 학교교육이 바로 설 수가 있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부정할지도 모르겠지만, 자신의 아이가 문제를 가지고 있는 소위 문제아라면, 부모로서 자신의 ..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9. 19. 07:24
청소년 범죄, 잘못을 가르치지 못한 교육의 문제 현재 우리에게 고교생 장난, 범죄, 폭행 등을 비롯한 청소년 범죄에 관한 뉴스를 접하는 것은 그리 드물지 않은 일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 많은 청소년들이 일탈행위를 하면서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 청소년 범죄율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를 하는 반면에, 그에 대한 대책은 여전히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나는 그러한 청소년 범죄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후의 강력대처방안만이 아니라 그러한 범죄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책을 확실히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아래의 두 가지가 이러한 청소년 범죄의 증가율을 유지시키는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첫째, 1등을 만들어내고, 1등만을 위해 시행되는 교육정책. 1등과 학벌만을 위주로 하는 교육 때문에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1. 6. 16. 07:34
무정한 아빠의 드문 친절이 불편한 이유 이전에 여러 글을 통해서 제가 가정문제가 조금 있다는 것을 직간접적으로 표현했던 글이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꽤 많은 고생을 했었고, 지금까지도 여러가지가 있어서 꽤 많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가정환경의 문제로 인해서 저의 모든 비극같은 악몽은 시작이 되어었으니까요. 저희집의 가정문제의 원인은 단 한 사람입니다. 바로 아빠. 남들이 보면, 심하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이번 글에 쓴 이야기는 모든 것은 사실임을 알아주길 바랍니다. 저희 아빠는 우리집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사람입니다. 지금까지 17년이 넘도록 집에 제대로 된 돈을 보태주신 적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일을 안하시는 것도 아니죠. 혼자 벌어서 혼자 먹고 사십니다. 가장 큰 문제는 도박이나 이상한..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4. 21. 07:01
교사만 질책하는 학부모들에게 우리나라에서 교육이 문제가 되고 있는 최근의 문제가 아니다. 이 글에서는 교사만을 질책하는 학부모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최근에 교권추락이다, 학생인권침해다 등 여러가지 말이 많지만, 그전에 근본적인 문제가 한 가지가 있다. 바로 학부모 자신에 대한 문제이다. 내가 이렇게 정의를 한다면, 일부 학부모는 고개를 갸우뚱 거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육이 발전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학부모의 태도라는 것을 알아주기를 바란다. 그렇다면, 학부모의 어떤 태도가 문제인 것일까? 학부모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하나하나 지적하자면 끝이 없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언급하자면, 바로 가정교육의 부재의 문제이다. 학교를 다니다보면, 사고를 친 아이들의 부모님이 학교 교사에게 ..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1. 1. 11. 06:51
우리 주변은 위험한 관계로 가득하다. 최근에 나는 신간평가단으로써 한 권의 책을 읽게 되었다. 그 책의 이름은 '위험한 관계학' 이다. 이 책의 작가 송형석은 《위험한 심리학》의 저자이기도 하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이 책을 읽게 된 것에 대해 정말 행운이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현 시점의 나에게 정말 필요한 책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인터넷상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거리낌 없이 이야기를 할 수가 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나를 인간관계가 좋은 사람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실상 나는 그렇게 많은 사람과 친분을 쉽게 다지지 못한다. (고등학교 이후 조금씩 개선되어온 편이다.) 그 동안 나는 책을 읽으면서 , 여러가지로 부족한 나를 바꾸고 개선시켜나가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해왔다. 이 정도까지 올라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