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센터 드라마가 보여준 치열한 삶과 죽음의 경계

반응형

중증외상센터

 지난 설 연휴 마지막 날은 요즘 한창 대세 중의 대세로 손꼽히는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를 시청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물론, 틈틈이 책을 읽고 글도 쓰면서 해야 할 일을 한 이후 <중증외상센터>를 정주행 했다. 이 드라마는 제목 그대로 목숨이 위험한 중환자들을 살리기 위한 중증외상센터를 무대로 하는 드라마였다.

 

 아마 병원에서 오랜 시간 동안 신세를 진 적이 없는 사람이라고 해도 '중증외상센터'라는 곳은 들어보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중증외상센터 의사는 아주대학교 병원 소속이었던 이국종 교수다. 이국종 교수는 여러 프로그램에 출연해 닥터 헬기와 함께 중증외상센터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이국종 교수님 덕분에 각 지역에 권역외상센터가 설치되는 데에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게 대내외적인 평가다. 하지만 이국종 교수님은 헬기를 띄울 때마다 드는 비용 문제를 포함해서 중증 외상을 입은 환자들을 수송하고 치료하고 케어하는 데에 드는 막대한 비용에 많은 고생을 하시면서 결국 외상센터를 떠나고 말았었다.

 

중증외상센터 중에서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를 본다면 이국종 교수님이 현실에서 겪은 그 고증이 잘 반영되어 있다. 단순히 실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것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백강혁(배우 주지훈)의 행동은 우리가 생각하는 참된 의사였다. 하지만 의사라고 해도 한 사람이 선택한 직업이기에 먹고살 걱정은 하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특히, <중증외상센터>의 무대가 되었던 한국대병원처럼 이름 있는 국립 대학교의 병원이라면 출세 욕구를 가지는 것도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의사에게 자신을 희생해 환자를 구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여겨달라고 바란다면 그것은 이기적인 욕심이다. 그들도 당연히 사람이기에 사람답게 자신을 위한 시간도 꼭 필요했다.

 

 문제는 사람들이 그런 것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여전히 많은 사람이 과잉 진료로 편하게 돈을 번다고 비판하는 경우도 적지 않고, 해마다 매일 술에 취해서 사고를 일으킨 이후 응급실에 실려 왔어도 자신을 치료해 주는 의료진에게 폭언과 폭행을 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특히, 응급실과 중증외상센터는 너무나 치열했다.

 

중증외상센터 중에서

 우리는 목숨이 오가는 위기는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를 본다면 절대 남의 일로 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에서는 적자를 내면서 병원 경영에 해가 되는 중증외상센터의 예산을 삭감하기 위해 움직이는 의사들을 볼 수 있다. 병원도 일종의 기업이니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그때 백강혁을 몰아세우려고 했던 한유림(배우 윤경호)의 딸 한지영이 교통사고로 중증외상센터에 실려 오면서 그는 패닉에 빠지고 만다. 자신이 내쫓으려고 했던 백강형의 바짓가랑이를 붙잡은 채 "우리 지영이 좀 살려줘…."라며 눈물을 쏟는 장면은 이러한 일이 절대 남의 일에 불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 장면이기도 했었다.

 

 나도 과거 추락 사고로 발목이 바깥쪽으로 골절되어 미친 듯이 통증에 시달리며 응급실에 실려간 적이 있었다. 만약 그때 응급실에 실력이 뛰어난 전문 의사 선생님이 없었다면 나는 오른쪽 발목 아래가 괴사 되었을지도 모른다. 빠른 처치와 빠른 수술이 없었다면 정말 상상도 하기 싫은 결과를 맞이했을 것이다. 참, 사는 것이 쉽지 않다.

 

중증외상센터 중에서

 언뜻 보면 한국에서 사랑을 받으며 방영되었던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과 닮았지만, 더욱 치열하게 돌아가는 중증외상센터를 무대로 하여 처음부터 끝가지 환자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백강혁의 모습을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는 그리고 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의사'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사명감을 되찾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슬기로운 의사생활>처럼 수술을 하면서 사람들이 평범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그려도 충분히 멋진 의학 드라마가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중증외상센터를 무대로 하는 만큼 연애를 하거나 평범한 모습 없이 늘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사람들을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그 자체로 설득력이 있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좋아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중증외상센터 8회> 마지막 장면에서 그려진 백강혁과 백강혁을 어떻게든 내쫓으려고 했던 한국대학교 병원장 최조은(배우 김의성)이 대화를 나누고 고민하는 모습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아마 최조은의 역할을 계속 나쁘게만 보았던 시청자들도 마지막 장면에 깜짝 놀라지 않았을까? 어쩌면 이 드라마는 이렇게 매력적인 건지!

 

 더 자세한 이야기는 직접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를 보자. 오늘날 의료대란 속에 가려진 진짜 의사 선생님은 어떤 모습인지 제대로 알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응급실과 중증외상센터에서 누구보다 치열하게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사람들을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그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와 존경을 표하고 싶다. (꾸벅)

 

 
중증외상센터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 백강혁이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
시간
(2025-01-24~2025-01-24)
출연
주지훈, 추영우, 하영, 윤경호, 정재광
채널
Netflix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