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도 공부라고 말할 수 있나요?

반응형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서 알아가는 것도 공부입니다.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공부'를 말할 때는 언제나 시험을 대비해서 영어 단어를 외우고, 수학 오답 노트를 작성하는 등의 일을 의미한다. 한국 청소년 평균 공부 시간이 하루 8시간이라고 하는데, 이 수치는 OECD 국가 평균 시간보다 2시간 이상 더 많은 시간이다. (정말 대단한 한국 청소년들!)


 아마 우리는 모두 비슷한 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청소년 시기에 운동부로 들어가서 운동을 하거나 일찍 취업을 목표로 대학이 아닌 다른 길을 선택한 사람이 아닌 이상, 우리는 책상에 앉아서 무턱대고 책을 펼쳐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와 수능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 발버둥 쳤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서 그렇게 한 공부에서 기억에 남은 게 별로 없다. 개인적으로 좋아했던 법과 사회와 정치, 사회문화 같은 과목은 지금도 꾸준히 관련 책을 읽고 있어 기억하고 있지만, 수학 시험을 위해 외웠던 공식들은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 심지어 어떤 과목은 이름도 기억나지 않는다.


 놀 수 있는 시간, 내 인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찾는 시간을 포기하면서 공부를 죽어라 했었지만, 막상 남는 게 없어 허탈함이 느껴진다. 내가 좋은 명문 대학에 가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 것일 수도 있지만, 이런 모습은 지방대였던 '나 한 사람'의 예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김제동의 톡 투유


 예능 프로그램 <1박 2일>에서 서울대에 방문했을 때 만났던 서울대 학생도 똑같은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비록 공부를 열심히 해서 서울 대학교에 들어왔지만,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하고,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하는 일을 고민하면서 그냥 그 자리에 서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문화 이야기/방송과 행사] - 서울대생도 똑같은 고민을 하는 20대 청춘이었다


 한국에서 '아프니까 청춘이다'는 말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다. 아프면 환자이기 때문에 병원에 가야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아프니까 청춘이다'는 말에 공감했던 이유는 그냥 좋은 대학만 가면 모든 게 잘 풀릴 것이라는 어른의 말과 달리 대학에 와서도 희망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청춘이 청소년 시기에 해보지 못했던 '내가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일까?', '내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나?' 같은 고민을 하면서 뒤늦게 방황한다. 공부만 하던 학생이 갑자기 자신의 인생에 책임을 지고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니 삶에 지쳐가면서 아파했던 것이 아닐까?


 우리가 이런 과정을 좀 더 웃으면서 내가 성장하기 위한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공부'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우리가 그냥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하는 게 공부가 아니라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을 위해 배우는 것도 '공부'이기 때문이다.


ⓒ김제동의 톡 투유


 지난 <김제동의 톡투유>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 여학생이 시험공부에 너무 많은 스트레스를 받다가 생각을 내려놓고 공부만 하기보다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을 김제동과 말하고 있었다. 김제동은 그 여학생에게 "진짜 공부하네." 하고 말하자 여학생은 "그게 공부에요?"하고 되물었었다.


 김제동은 그 여학생의 질문에 고개를 끄덕이면서 "그게 공부죠. 좋아하는 것을 알고 싶어하는 것을 하는데, 그게 진짜 공부지." 하고 답했었다. 나는 이 말이 우리의 좋은 본보기가 되었다고 생각했었다. 우리는 그냥 시험공부만 하는 게 공부라고 생각하지만, 공부는 좀 더 넓은 의미로 보아야 한다.


 우리는 언제나 좁은 의미로 공부에 접근한다. 그래서 우리는 진짜 보아야 할 공부를 보지 못하고, 공부는 싫은 일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더 잘하기 위해서 하는 공부가 아니라 해야 하는 이유도 모른 채 해야 하는 공부이니 어떻게 좋아할 수 있을까? 어떻게 즐겁게 할 수 있을까?


 괜히 한국 청소년 행복지수가 OECD 국가 중 꼴찌가 아니고, 괜히 한국 청소년 자살률이 OECD 국가 중 일등이 아니다. 공부를 언제나 좁은 시선으로 접근하고,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한 진학 공부가 아니라 하고 싶은 일을 잘하기 위해 공부하는 사람에게 비판하는 건 절대 옳지 않다.


[시사 이야기/학교와 교육] - 청소년 행복지수 마저 조작하는 나라, 부끄럽지 않나요?



 "저는 대학에 가지 않고, 먼저 취업할래요." 같은 말을 하는 사람에게 우리는 다소 걱정스러운 시선과 함께 '네가 대학에 가지 않으면, 도대체 어디서 취업해서 먹고 살려고?' 같은 불편한 시선을 보내기 마련이다. 어쩔 수 없다. 우리는 학교와 가정에서 '대학은 취업을 위한 최선'으로 배웠었으니까.


 책을 읽는 일 자체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어른이 지정한 권장 도서를 읽어야 했고, 심지어 독후감까지 억지로 써야 했다. 그래서 '책 읽기=공부'라는 바보 같은 공식이 만들어졌다. 괜히 한국에서 독서율이 낮은 게 아니다. 이런 잘못된 접근이, 잘못된 생각이 점점 안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아무리 사회에 이런 잘못을 지적하더라도 오랫동안 굳혀진 제도와 분위기를 쉽게 바꾸지는 못할 것이다. 노동 가치에 대한 차별이 심하고, 스스로 계급 사회의 구성원이 되는 우리 사회에서 덴마크와 독일 같은 나라처럼 한 사람의 노동 가치에 차별이 없어지는 건 기대하기 어렵다.


 그래도 결코 포기해서는 안 된다. 사회를 바꾸지 못하지만, 우리는 나 자신과 내 주변 가족에게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다'는 자녀의 말에 "네가 뭘 보여줘야 그것을 믿지! 그냥 공부나 해!"라며 잔소리만 하지 말고, 자녀에게 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기다려주는 것부터 시작하자.


[문화 이야기/독서와 기록] - 내가 고전을 공부하는 이유는 오직 하나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