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자퇴생에서 의사가 된 김호경, 나를 버리지 않는 용기

반응형

[강연100℃] 고교 자퇴생 출신 미국 명문대학 병원 의사가 된 김호경의 이야기


 우리는 삶을 살면서 정말 많은 난관을 만난다. 그 난관은 모두가 넘어설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그 난관을 넘지 못한 채 인생이 엉망이 되어버리는 예가 적잖다. 우리가 사는 시대에 '성공했다.' 혹은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적은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그 난관만 만나지 않았더라도, 그 난관을 훌륭하게 헤쳐나가기만 했더라도 잘살 수 있었을 텐데…'고 후회한다. 이 결론이 정답이 아니라고 확신을 담아서 말할 수는 없지만, 그런 생각을 한다는 것은 이미 자신을 잃어버렸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람마다 자신의 인생 최대 난관이라고 생각하는 그런 벽을 만나는 것은 그 시기가 다르다. 젊은 나이든, 중년의 나이든 어느 순간에 갑자기 암이라는 벽을 만나거나 사업 실패, 취업 실패… 등 여러 가지를 만날 수가 있다. 특히 아직 어린 초·중·고 학생일 때 만나는 벽은 정말 뛰어넘기가 어렵다. 그때 만나는 난관은 경기가 좋지 않아 집안의 경제적 능력이 몰락하거나 가정폭력을 행사하는 부모로 탓에 겪는 가정파괴, 학교 폭력으로 인한 절망 등이 대부분이다. 나도 그런 경험 속에 있었기에 얼마나 그 상황이 힘든지 알고 있다.


 물론, 그런 환경 속에 있다고 하여 무조건 용서해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방황은 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 방황 속에서 무엇인가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세상이 용서해주는 것은 적당한 선에서 방황할 때뿐이지, 그 이상을 넘어가면 누구도 용서해주지 않는다. 그 누구도 이해해주지 않는다. 그 사실을 알아야 하고, 그런 학생들에게 우리는 많은 지원을 통해 삶을 바로 살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무조건 그런 학생들에게 강요로 시키는 것이 아닌, 동기를 심어줘서 스스로 바뀔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오늘, 나는 그런 학생들을 위해 한 명의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한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 김호경 씨는 어릴 때 가정불화로 방황하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자퇴를 하였다가 미국 명문대학 병원 의사가 된 사람이다. 누구나 했을 힘든 방황 속에서 그가 어떻게 방향을 바로 잡고, 미국 최고의 병원이라고 불리는 명문대학 병원에서 전문의가 될 수 있었는지 들려주는 이야기는 많은 학생에게 힘이 되어줄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김호경, ⓒ강연100℃


 지금 그의 모습은 너무 화려하지만, 어렸을 적에 그는 전혀 화려하지 않았다. 오히려 외톨이로 살면서 정말 어두운 시절을 보냈었다. 그의 집은 겉으로 보기에는 사람과 잘 지내면서 좋았지만, 그의 아버지가 술을 마시고 집에서 행패를 부리기가 일쑤였다. 아버지의 그 행패는 집안의 물건을 던져서 부수거나 어머니와 싸움을 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가정폭력으로 발전하여 정말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었다. (그때의 기억은 지금도 그를 괴롭힌다고 한다. 나도 이런 경험이 있고, 지금도 과거의 기억이 드문드문 나타나 나를 괴롭히곤 한다.) 한때는 어머니를 너무 심하게 때리는 아버지에게 울면서 매달리며 "제발, 그만해…."라고 간절히 호소하였음에도 아버지의 그 버릇은 고쳐지지 않았다.


 사춘기에서 그런 상황에 놓여있었던 그는 문제아들과 어울리며 사고를 치기 일상다반사였고, 고등학교에 들어갔을 때는 '내가 왜 이것을 해야 하나?'는 질문에 도저히 답을 찾지 못해 스스로 모든 것을 포기해버렸다. 그는 1학년에 바로 자퇴를 하고 말았다. 처음 그가 자퇴하였을 때는 모든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즐거운 마음이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이 했던 생각과 달리 무기력해진 생활에 바깥출입도 잘 하지 않게 되었다. 그는 자신에 대한 분노의 표출구를 찾지 못해 그의 아버지처럼 물건을 던져서 부수기도 하면서 그런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미국에 갈 기회를 잡았다. 미국에 같이 가겠느냐?"고 물어보았다. 그는 여기서 벗어나면 무엇이라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 아버지와 함께 미국으로 떠났다. 그리고 미국에 도착하자마자 아버지 곁을 떠나 혼자 독립하여 혈혈단신으로 시애틀로 향했다. 그는 영어도 잘하지 못했기에 밑바닥 인생부터 시작했다. 정말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는 그 순간이 가장 행복했었다. 왜냐하면, 무기력하게 보냈던 지난날과 달리 '꿈'이라는 것을 느꼈고, '나도 할 수 있구나'는 성취감을 느끼며 하루하루를 즐겁게 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에서 돈만 내면 다닐 수 있는 2년제 대학에 150만 원의 등록금을 내고 입학도 하게 되었다. 대학교에 다니게 되면서 그는 생계유지를 위해서 갖가지 아르바이트를 다 하였으며, 돈을 아끼기 위해서 50분 동안 걸어서 등·하교를 했었다. 어떤 때에는 비를 다 맞으면서 학교 잔디밭 내 잡초를 뽑는 일을 하고, 다시 강의를 듣는 그런 날도 셀 수 없을 정도로 있었다. 그래도 그는 정말 열심히 공부하였고, 무엇보다 '나도 하면 된다'는 자신이 있었기에 포기하지 않고 노력할 수 있었다.


 그렇게 대학 생활을 하다 보니 그의 가슴 속에는 '응급의사'라는 직업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 미국에는 의료비용이 상당히 비싸 많은 미국인이 아픔을 견디다가 도저히 참지 못하는 상황― 최악의 상황이 되었을 때에만 병원을 찾았다. 그런 환자들은 대부분 응급실로 실려오기 마련인데, 인생의 깊은 절망을 경험했던 그는 그런 환자들을 보며 '도와주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던 것이었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인생을 걸고 의사가 되기 위한 공부를 시작했다. 누구나 열심히 공부하였겠지만, 그는 '여기서 실패하면 나는 다시 평범한 고등학교 자퇴생으로 돌아가 무기력한 하루하루를 보내야 한다'는 두려움 때문에 절박한 심정으로 매일매일을 부딪쳤다.


 그 결과, 그는 미국 존스 홉킨스(미국 최고)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 병원은 미국에서 제일 가난한 사람들이 있는 동네에 있었는데, 치고의 의술로 사람들의 병을 치료하였다. 그는 곁에서 환자들의 죽음을 보며 울기도 했었고, 환자들을 돌보며 자신의 마음 또한 치유 받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거기서 그는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되었고, 지금까지 삶을 살아오고 있다.



김호경, ⓒ강연100도씨


 우리가 김호경 씨의 이야기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은 나를 버리지 않고 노력한다면, 무엇이든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누군가는 김호경 씨가 머리가 좋은 사람이었기에 미 의사고시 상위 1%로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될 수 있었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한 번 생각해보라. 고등학교 때까지 문제아들과 함께 일진 행위를 하며 놀기만 했고, 고등학교 1학년 때 바로 자퇴했던 사람이 무엇을 알겠는가?


 김호경 씨가 다른 사람과 다른 것은 단 한 가지, 무작정 미국으로 건너가 바위에 계란 던지기씩으로 무모한 도전을 하였다는 것이다. 우리 중에서 누가 그런 도전을 쉽게 할 수 있겠는가? 보통 사람들은 '미국 유학? 영어가 되야 가지…'라고 걱정하며 엄두도 내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그는 그저 자신의 인생을 바꾸고 싶다는, 거기에 가면 뭔가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무작정 부딪혔다. 그래서 그는 우직하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었고, 그 생활 속에서 자신의 꿈을 찾아 지금의 자리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는 강연100도씨에서 이렇게 말했다.

 "제게 공부의 비결을 묻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다못해 '어떻게 공부를 하면 그런 성적이 나오느냐?'고 묻는 사람도 있습니다. 저는 딱히 저만의 공부비법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저 꿈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을 뿐입니다."


 목표가 있는 사람은 그 방법이 서툴더라도 꾸준히 하면서 자신만의 방법을 터득하여 그것을 이뤄낸다. 어떤 것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은 목표 설정이 불분명하고, 그 목표의 핵심이 될 비전이 없기 때문이다. 김호경 씨는 '사람을 도와주고 싶다'는 비전을 가졌었고, 그 비전을 이루기 위한 목표로 '의과대학에 진학하여 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되는 것'을 삼았다. 분명하게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알고 있었기에 그는 누구도 쉽게 할 수 없는 노력을 할 수 있었다.


 며칠 전에 댓글로 "행복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라고 묻는 글이 달렸었다. 나는 행복이란, 꿈과 목표를 가지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삶이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이 행복하지 않은 것은 자신만의 꿈과 목표가 없기 때문이다. 지금 행복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나는 그 사람에게 묻고 싶다. 당신은 꿈과 목표가 있습니까?


'꿈과 목표'와 관련하여 추천하는 글


[소박한 문화/독서와 기록] - 꿈을 잊고 살아가는 2030 세대에게 전하는 메시지

[소박한 문화/독서와 기록] - 지금, 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

[소박한 이슈/방송과 연예] - 피아니스트 이수미, 지금의 나를 키운 절망

[소박한 이슈/방송과 연예] - 전통시장 바리스타 박태권, '세상을 향해 덤벼라!'

[소박한 이슈/방송과 연예] - 청년 고물상 김상범, 이 세상에 고물은 없다

[소박한 이슈/학교와 교육] - 박정헌, 방황의 이유는 목표가 없기 때문이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