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이벤트 정보 노지 2023. 1. 21. 10:05
오늘 2023년 1월 21일(토)부터 시작된 설날 연휴를 맞아 어떤 사람들은 해외로 여행을 가고, 어떤 사람들은 오랜만에 고향을 찾고, 어떤 사람들은 나처럼 집에서 한적한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어릴 때는 설날이 된다면 어른들이 주는 세뱃돈이라는 이름의 용돈이 있어 그나마 설날이라는 명절이 반가운 이유가 되어주었다. 하지만 어른이 된 지금은 설날은 고물가 시대에 부담이 되는 명절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경제적 견해로 다툼이 잦은 친인척들 적어도 한 번은 만나야 하는 괴로운 시간으로 자리 잡고 말았다. 그래서 오히려 이런 날에는 사소한 것으로 다투는 친친인척을 만나는 것보다 그냥 해외로 여행을 가거나 혼자 시간을 보내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오늘은 나처럼 혼자 시간을 보내는 게 좋아도 ..
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18. 12. 29. 10:12
2천 원으로 시작한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카카오뱅크에서 소액으로 돈을 모을 수 있는 적금 플랜 26주 적금을 공개했을 때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졌다. 다른 어떤 은행의 적금 플랜과 달리 천 원, 2천 원, 3천 원 등 소액으로 시작해 매주 금액이 증액되는 플랜으로, 만기 시 많은 금액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돈을 모을 수 있는 적금 플랜이었다. 그동안 많은 금액을 투자해야 했던 적금을 오랫동안 유지하지 못한 사람, 돈을 절약해서 모으는 습관을 지니지 못한 사람들에게 모으는 재미와 적금 만기 즐거움을 줄 수 있는 플랜으로 많은 사람에게 호평을 받았다. 당연히 이 글을 쓰는 나도 조금이라도 돈을 모으고 싶어 26주 적금에 도전장을 던졌다. 내가 도전한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은 2천 원 플랜으로, 매주 2천..
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18. 10. 27. 07:30
절약과 저축이 서툰 사람을 위한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에 도전한지 벌써 18주가 지났어요. 올해 상반기 카카오 뱅크에서 출시한 ‘26주 적금’ 상품에 가입하고 벌써 18주가 지났다. 앞으로 8주만 더 지나면 26주가 채워져 만기 적금을 찾을 수 있다. 이 상품에 가입한 이유는 요즘 배달음식을 자주 시켜 먹으면서 돈을 모으지 못했고, 대학 마지막 2학기가 끝나면 여행을 가고 싶었기 때문이다. 여행을 가기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아껴서 돈을 모을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최소 6달 동안 넣어야 하거나 적은 돈으로 시작하기 어려운 시중 은행 적금 상품은 조금 힘들었다. 그러던 찰나에 카카오 뱅크에서 1,000원, 2,000원, 3,000원으로 시작하는 ‘26주 적금’ 상품이 전격적으로 출시되었다. 카카오뱅크 ‘26..
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18. 7. 2. 07:30
그동안 한 번도 적금 만기에 성공하지 못한 당신을 위한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돈이 없는 사람이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꾸준히 절약해서 자투리 돈을 아끼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이 일은 말로 하는 건 쉽지만 실천하는 건 쉽지 않다. 항상 우리 주변에는 자투리 돈을 유혹하는 상품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는 야구를 볼 때 먹는 치킨 같은 야식이라고 생각한다. 한때 나는 야구를 즐겨볼 때마다 매주 한 번은 치킨을 시켜 먹었다. 덕분에 동생은 “치킨집은 우리 같은 집 때문에 사는 것 같다.”라고 말할 정도였는데, 나중에 시간이 지나고 보니 매달 치킨을 먹는 데에 쓴 돈을 모으면 상당한 목돈이 될 수 있었다. 가계부를 보면서 항상 ‘아끼자’ 해도 참 쉽지 않았다. 우리가 재테크 도서를 ..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6. 3. 30. 08:11
현금이 사라지는 시대에서 등장한 인터넷 전문은행! 요즘 우리는 어디를 가더라도 '아, 지갑에 현금이 없는데!'이라는 상황을 쉽게 마주한다. 모바일 결제와 카드 결제가 보편화하면서 우리는 어느 순간부터 지갑에 많은 돈을 들고 다니는 것보다 카드 한 장 혹은 스마트폰만 들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의 지갑을 살펴보자. 이런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우리 사회에서는 '현금 없는 사회'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예전에는 수수료 때문에 카드 결제를 금지하던 점포가 있었지만, 요즘에는 적은 금액의 현금이 부족해서 거스름돈을 주지 못해 "카드로 결제하시면 안 되나요?"이라며 오히려 카드 사용을 선호하는 모습도 있다.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는 우리가 현금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주었다. 하지만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