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20. 2. 15. 11:00
요즘 우리가 사는 세상은 나 혼자 먹고살기도 힘든 세상이라고 말한다. 너무나 높은 부동산 가격과 반대로 우리의 임금은 그 부동산 가격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에서 머무르면서 젊은 세대는 원룸이 아니라 영화 에서 볼 수 있는 반지하, 혹은 이제는 지하 혹은 쪽방에 들어가서 살아가고 있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 수도권에 한하는 이야기다. 아직 지방은 수도권보다 적은 돈으로 내 집 마련 혹은 하다못해 사람이 살 수 있는 수준의 월세와 전세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크더라도 여전히 높은 문화 소비 시장을 원하는 젊은 세대는 생존이 열악해도 수도권을 원하고 있다. 그래서 과거 김해 문화의 전당에서 열린 ‘홈 리스의 도시’ 전시에서 보았던 중국 베이징에서 늘어나고 있는 쥐족 문화가 한국 서울에서..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1. 1. 20. 07:01
결혼식장에서 느낀 바뀌어야 할 한국의 결혼문화 지난 주 일요일에 친가쪽의 사촌누나의 결혼식을 갔다왔습니다. 평소 왕래가 자주 없었던 관계이기에, 형식상 참여만을 위해서 참석했었죠. 저는 이곳에서 한국의 결혼식 모습을 보며, 상당히 많이 바뀌어야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왜냐구요?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최우선적으로, 여기가 결혼식장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바닥인지 구분이 가질 않았습니다. 사람들은 결혼식을 할 때, 이런저런 꾸미기를 좋아합니다. 결혼식장에서 결혼을 못하면, '칫!' 하면서 내내 살면서 한이 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돈이 들더라도, 웨딩홀을 일정시간동안 빌려서 결혼식을 거행합니다. 하지만, 그게 너무나 지나칩니다. 보통 웨딩홀에는 하루에도 몇 커플씩 결혼을 하는 것 같습니..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09. 12. 7. 12:48
우리나라는 출산율 감소로부터 지속적으로 고통 받고 있다. 지난해, 출산율은 OECD국가들 중에서 가장낮은 여자 한명당 1.13을 기록했다. OECD는 효과적으로 출산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4가지 수단, 즉, 부모들에게 부양지원정책, 여자들에게 취업기회제공 그리고 보육시설확대와 아내나 남편에게 출산휴가 보장을 추천했다. 그 중 나는 부모들에게 세금 혜택을 통한 재정 지원을 강화 시키는 것을 원한다. OECD 멤버들은 큰 세금 혜택을 2명의 아이를 가진 일하는 부부에게 제공 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세금혜택을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부모들에게 세금 감면혜택이 확대되면 출산율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된다. - 오타 지적 감사히 받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