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24. 11. 12. 09:02
오늘날 우리는 SNS 시대를 살아가면서 성공할 수 있는 무한한 기회를 손에 넣기도 하지만, 누구나 다 이용하는 SNS를 통해 자신을 타인과 비교하면서 깊은 자괴감에 빠지기도 한다. 특히, 태어날 때부터 SNS 영상을 접하면서 자란 10대들은 말할 필요도 없이 현재 2030세대, 나아가서 4050세대도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 항상 남들만큼만 사는 것을 목표로 살아왔다. 남들만큼 좋은 옷을 입고, 남들만큼 좋은 음식을 먹고, 남들만큼 좋은 곳에서 살기 위해서 과거에 열심히 경쟁했을 뿐만 아니라 현재도 열심히 경쟁을 하고 있다. 물론, 경쟁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다. 경쟁은 나를 더 발전시키기 위한 하나의 커다란 발판이다. 문제는 그 경쟁을 하면서 집중해야 할 상대는 어제의 나라는 것을..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24. 5. 25. 09:52
오늘날 우리의 뇌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경험할 수 있든 다양한 자극을 받고 있다. 특히, 요즘처럼 온라인과 오프라인 양쪽에서 자극적인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짙은 시대에는 뇌는 쉽게 피로해지고, 스트레스를 받은 뇌의 영향으로 인해서 종종 정신적인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른바, 우울증 혹은 ADHD 증후군 같은 질환이다. 앞서 예로 들었던 정신적 질병은 개인의 감정 문제로 발생하는 게 아니라 우리의 몸에 이상이 있다고 뇌가 신호를 주는 질병이라고 생각한다. SNS에 중독된 사람이 우울증에 걸리기 쉽다는 이야기는 SNS 채널을 통해 업로드된 나 빼고 다 즐겁고 잘 사는 모습을 보면서 자괴감에 빠지는 것도 있겠지만, 결론은 뇌의 호르몬 작용 문제였다. 그렇다면, 우리가 우울증을 앓도록 하는 뇌의 작..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23. 11. 24. 14:26
이제 우리는 2023년을 약 한 달 정도 남겨두고 있다. 2023년 새해를 맞이하며 여러 다짐을 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1년이 지나갔다고 하니 시간을 도둑맞은 기분이다. 2023년 한 해 동안 하고 싶은 일이 많았기 때문에 나는 큰 목표와 중간 목표, 작은 목표를 세워서 그 목표를 실천하기 위해서 나름 아낌없이 노력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 내가 그 목표를 이루었는지 평가한다면 절대 좋은 점수를 줄 수가 없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꾸준히 노력했어도 결과가 목표에 미치지 못한 경우도 있었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을 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고, 아예 시도조차 하지 못했던 경우가 있었다. 계획은 있었지만 항상 이런저런 이유로 끝까지 하지 못했다. 오늘 읽은 라는 이름의 책은 나와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