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8. 5. 3. 07:30
아무것도 아닌 소재에서 무엇이든 이야기를 끌어내는 12가지 발상법 작가라는 직업은 창조성이 굉장히 중요한 직업이다. 하나의 평범한 소재를 통해서 다른 사람은 미처 생각지 못한 이야기를 만들기도 하고, 아주 평범한 에피소드 하나를 통해서도 놀라운 메시지를 덧붙여 의미를 만들기도 한다. 프로 작가들의 눈에는 일상의 모든 것이 ‘작품의 소재’로 보이지 않을까? 과거 에서 평론가 이동진과 칼럼니스트 김태훈이 등장해서 1박 2일 멤버가 만든 영상에 놀라운 해석을 보여준 적이 있다. 두 평론가는 평범한 시청자가 보기에는 1박 2일 멤버들이 진지함보다 반장난으로 만든 영상을 두 작가를 통해서 다양한 기법이 사용된 예술 작품으로 해석했다. 그만큼 똑같은 영상 하나에서도 누군가는 ‘장난 같은 재미있는 영상’이라는 후기가..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6. 2. 2. 07:30
딱 한 줄의 글로 밥 먹고 책도 살 수 있다면 더도 말고 글을 잘 쓰고 싶다. 막연하게 글을 잘 쓰고 싶다고 생각해본 적이 셀 수 없을 정도다. 아침에 일어나서 본 블로그에 제일 먼저 달린 댓글이 스팸 댓글일 때, 내 글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없는 글인 것 같아 괜히 어깨가 축 처진다. 오늘 글을 쓰는 아침에도 대출 광고 댓글이 블로그에 달려 있었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매해 우수 블로거에 선정되고, 지금은 없어진 블로거 대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글을 쓰는 데에 자신감이 어느 정도 붙었지만, 아직도 나는 글쓰기가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여러 책을 읽으면서 아는 단어와 문장을 늘려가고, 글의 스타일을 종종 바꾼 적도 있었다. 덕분에 종종 '요즘 글 읽기가 편해졌어요.'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었다. ..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5. 4. 21. 07:30
굳은 뇌를 말랑말랑하게 풀어줄 카피라이터 정철의 두 번째 이완구 총리의 뇌물 수수 혐의 사건 이후 우리 주변에는 '비타500' 패러디가 넘쳐나고 있다. 그래서 나도 오늘 글의 제목에 '비타500'을 사용해서 지어보았는데, 오늘 소개할 책은 카피라이터 정철의 이라는 책이다. 내가 글의 제목에 '비타500'을 사용한 이유는 '비타500'의 효능으로 알고 있는 피로를 해소해주는(활력을 넣어주는) 점에 착안했다. 정철은 을 굳은 뇌를 말랑말랑하게 해준다고 말하며 책을 소개했는데, 큰 의미로 보면 두 가지 모두 머리의 피로를 해소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책 은 글로 빽빽하게 적힌 책이 아니다. 책을 펼치는 순간부터 웃음이 피식 나오는 글을 읽으면서 널찍한 여백 속에서 위로 기능, 조언 기능, 유연 기능,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