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8. 7. 4. 07:30
주 52시간 근무제로 복권 당첨 없이도 저녁 있는 삶을 살 수 있을까? 러시아 월드컵에서 일찍이 한국 경기가 끝난 지금 우리 사회에서 큰 관심을 받는 뉴스 중 하나는 ‘주 52시간 근무제의 도입이다. 52시간 근무제도는 300인 이상의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먼저 실천하고, 50~300인 이하 기업은 20년 1월부터, 5~50인 이하는 21년 7월부터 시행 예정이라고 한다. OECD 국가 중에서 여전히 최장 노동시간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한국은 저녁 있는 삶을 위해서 오랫동안 여러 제도를 검토해왔다. 첫 번째 단추는 토요일을 쉬는 주5일 근무제이고, 두 번째 단추는 최저임금을 올리는 일이었고, 세 번째 단추가 이번에 시행하는 52시간 근무제도의 시행이다. 그런데 52시간 근무제도 시행을 앞두고 사회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8. 19. 07:30
우리 사회의 질을 떨어뜨리고, 우리를 분노하게 하는 열정페이 많은 청년이 좋은 기업에 취업하기 위해서 거치는 단계 중 한 계단이 바로 인턴으로 기업에 들어가서 경험을 쌓는 일이다. 좋은 기업에서 오랫동안 일한 경력이 있을수록 취업에 유리한 입지를 선점할 수 있어서 대기업 인턴 모집에는 거의 입사 경쟁에 버금갈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 그렇게 대기업에 인턴으로 들어가서 일정 기간 꾸준히 근무하게 되면, 곧장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제도도 있어 많은 사람이 몰릴 수밖에 없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이 인턴 제도가 상당히 좋은 제도인 것 같다. 경험을 쌓는 동시에 소득도 올리고, 잘하면 정규직 채용까지 볼 수 있으니까. 그런데 우리 현실은 그런 기대치를 크게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인턴으로 근무하는 청년에게 정규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