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5. 12. 3. 07:30
오늘 나는 즐겁게 살고자 하지만, 내 마음은 어떨까 사람은 무엇이든지 자신이 생각하는 방향대로 나아간다는 말이 있다.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좋은 일이 자신에게 오고, 항상 부정적으로 생각하면 나쁜 일이 자신에게 온다는 의미다. 아마 우리는 '형태를 갖춘' 이 말의 의미를 곱씹어보지는 않았지만, 자연스럽게 상당히 믿고 있지 않을까? 부모님들은 항상 자신의 아이에게 '좋은 일만 생각하라.'고 말한다. 힘들다고 어디 힐링 강의를 가거나 정신과에 항우울제를 처방받고자 상담 선생님을 찾더라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너무 부정적으로 생각하면 안 좋다.'이라는 말을 듣는다. 아마 이 글을 읽는 당신도 그런 말을 종종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그런 말을 들으면 '그래, 긍정적으로 살아야지.' 하면서도 '어..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1. 5. 07:00
땡큐, 혜민스님이 말하는 열등감을 넘어서는 법 우리가 삶을 살아가다 보면 '아, 난 도대체 왜 이러지…'라는 열등감에 자책할 때가 적잖다. 특히 이러한 열등감은 성인일 때보다 아직 어린아이일 때 더 많이 느낀다고 한다. '자살'이라는 안타까운 길을 선택한 학생들 중에서 상당수가 열등감 속에서 자신을 이겨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열등감이라는 존재를 내버려두게 되면, 자신의 마음속에서 더 크게 자라 자신을 괴롭히게 된다. 우리는 이 열등감을 반드시 넘어서야 할 필요가 있다. 한 번 생각해보자. 왜 우리는 열등감을 반드시 넘어서야만 할까? 그것은 열등감을 넘어서면, 자신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있으면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고,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면 항상 도전할 수 있는 자..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2. 11. 2. 07:00
근거없는 자신감으로 세상과 마주하라, 한 번은 읽어볼만한 책 아마 누구라도 자신이 없다는 이유로 어떤 일을 하지 않았다가 후회한 경험이 한두 번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물론, 평소에 늘 자신감에 가득 차 힘차게 지내는 사람은 그런 경험이 없을 수도 있겠지만, 나처럼 평범한 사람들은 적어도 한두 번은 있지 않을까 싶다. 나는 '아, 난 안 될 거야.'라는 생각으로 그르친 일이 꽤 많다. 늘 시간이 지나고 나서 '아, 그때 그냥 한 번 과감히 도전해볼 걸 그랬어. 실패하더라도 그 경험은 소중한 자산이 되어 내가 한 단계 더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었을 텐데….'라는 후회를 하곤 한다. 위 경험은 비단 나에게만 해당하는 경험이 아닐 것으로 생각한다. 여기서 한 번 생각해보자. 우리는 왜 어떤 일을 하는 데에서 ..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1. 5. 13. 07:00
바보와 천재의 결정적인 차이는 단 하나 여러분은 바보와 천재는 어떤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그 결정적인 차이는 단 하나입니다. 바로 "자신을 믿을 수 있는가? 아니면, 믿을 수 없는가?" 입니다. 성공한 많은 천재들의 공통점은 바로 자신이 나아가는 길에 흔들림이 없었다는 점입니다. 그들이 자신이 나아가는 길에 흔들림이 없었을 수 있었던 이유는 자신이 옳다는 강한 믿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예전에 백만장자들을 대상으로 부자가 된 비결을 물은 적이 있단다. 그들이 공통적으로 꼽은 비결이 뭔 줄 아니? 바로 자기믿음이었어. 자기믿음이란 자신의 생각과 자신의 직관,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의 가능성을 믿는 걸 말하지." - 바보빅터 中 오늘 제가 소개해드릴 책은 17년동안 바보로 살았던 멘사 회장의 이야기가..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0. 11. 9. 07:18
완전한 나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은 자신감 우리들은 살면서 자신감이 없어서 의기소침해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왜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자신감을 가지지 못하는 것일까? 그것은 자신의 의지가 약해서 일 수도 있지만, 자신의 과거에 부모님으로부터 잘못된 가르침을 받아서 일 수도 있다. 우리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자신이 누구인지 그리고 어떠한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전혀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나는 누구인가?" , "내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 나를 정말 기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아주 단순한 물음조차 던지지 않고 살아왔다. 그러면서도 행복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항상 바쁘게 살아가고 있다고 믿는다. 우리 머릿속에 잘못 심어진 자아 이미지는 우리가 무한한 잠재력을 발산하는..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0. 11. 5. 06:46
지방에 산다는 것이 변명이 되지 않는 이유 전에 ' 지방에 사는 것이 때때로 서러운 이유 ' 에서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사실 그러한 느낌을 가면 갈수록 더욱 느끼게 됩니다. 제가 알라딘에서 작가와의 만남이라는 이벤트에 응모한 적이 있었습니다. 운이 좋게도 저는 당첨이 되었습니다. 작가분을 직접만나 글짓기 특강을 들을 수 있는 기회였지요. 하지만, 장소는 서울이고, 평일 오후2시 였습니다. 당첨여부를 알리기 위해 전화를 왔던 분에게 ' 지방에 있는 학생 사정상 갈 수 없다 ' 라고 했었습니다. 선착순 20명 한정 이벤트 였는데 정말 아쉬웠습니다. 또한 이번주 주말에 블로그 세미나가 있습니다. 아이엠피터님과 같은 쟁쟁한 블로거분들이 참여하는 아주 값진 행사지요. 저도 마음 같아서는 당장 참여하고 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