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1. 12. 07:30
청동기 시대 고인돌 유적을 포기하고, 레고 랜드를 세운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우리는 모두 역사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역사 유물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역사 왜곡에 대해 강력히 비판을 한다. 한국과 일본, 중국은 역사를 두고 서로 대립을 자주 해왔다. 일본에서 일어나는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잘못된 역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한국과 중국은 이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그 비판의 시선을 우리에게 돌려보자.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과연 이런 역사 왜곡과 논란에서 자유롭다고 말할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역사 왜곡은 지금도 현재진행형으로 ..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3. 10. 3. 07:30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1 규슈, 빛은 한반도로부터 한국과 일본. 이 두 나라의 관계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몇 시간, 아니, 몇 달이 걸릴 정도로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때로는 서로 힘들 때 손을 뻗어 도와주기도 하지만, 과거 역사 논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서로 갈등을 겪어오고 있기도 하다. 특히 양국의 극우 세력들은 자신을 '애국주의자'이라고 칭하며 두 나라의 갈등을 고조시키고 있다. 아마 지금 이 글을 읽는 사람 중에서도 극우 세력들이 만든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갈등 문제를 여러 언론을 통해 접해 보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얼마 전에 나는 유홍준 교수님께서 집필하신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을 읽었다. 1박 2일 출연을 통해 우리 문화유산의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재미있게 설명하..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2. 2. 7. 07:19
1박2일 문화탐방여행 특집 제2탄이 보여준 의의 세 가지 우리나라는 참으로 희한하게도 우리나라 역사를 배우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 나라다. 기존에 국사는 우리의 정체성을 알기 위해서도, 외세의 간교한 역사 왜곡에 대항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배워야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지금 우리나라는 국사를 선택제로 하여 아이들이 국사를 배우기 싫으면, 배우지 않게 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국사를 공부하는 아이들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높은 수능 등급을 노리는 학생들은 서울대를 가기 위해 국사공부를 하는 아이들과의 경쟁을 피하고자 국사 과목을 외면하고 있다. 국사를 배워야 하는 이유를 제대로 느끼지 못하고, 단순히 시험만을 위한 과목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일이 일어났다고 생각한다. 그런 생각을 하..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10. 19. 07:11
1박2일 경주답사편, 교육적으로 의미 있었던 이유 지난주 1박2일은 경주 문화답사편으로 방송이 되었다. 이번 100화 특집을 맞아서 촬영한 문화답사편은 사람들의 잊혀진 문화의식을 고취시킬뿐만이 아니라 교육적으로도 아주 긍정적으로 가치가 있었던 방송이라고 생각한다. 아마, 나와 같이 교육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사람들만이 아니라, 조금이라도 교육에 흥미있는 사람들이었다면 '역시! 저래야 교육이지!'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한다. (아니면 말고...) 그렇다면, 나는 도대체 어디서 그런 교육적으로 아주 도움이 되었던 방송이라고 생각한 것일까? 일단, 전체적인 내용이 교육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1박2일은 전국민의 예능프로그램으로써 일요일마다 가족끼리 또는 혼자서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챙겨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