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7. 2. 18. 07:32
억대 연봉을 버는 스타 유튜버 시대, 스타 유튜버를 꿈꾸는 장래 범죄자들(?) 요즘 아이들의 장래희망이 조물주보다 위대한 건물주에서 스타 유튜버로 바뀌고 있다고 한다. '스타 유튜버들의 연봉이 억대에 이른다.'는 언론의 보도는 수저 계급론이 지배하는 우리 사회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커다란 자본이 없어도 재미있는 콘텐츠가 돈이 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 흔히 우리 사회에서 개천에서 용 나는 시대는 끝났다고 말한다. 하지만 방 한 개의 작은 공간에서 출발해서 부와 성공을 손에 쥔 스타 유튜버의 성공 사례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새로운 개념의 성공을 손에 쥘 수 있다는 걸 증명한 사례가 되었다. 유튜버가 유행하는 건 예측할 수 있는 사례였다. 유튜버의 성공 사례를 부추긴 원동력은 아프리카T..
정보/블로그 관련 노지 2015. 5. 9. 07:30
블루오션을 넘어 대기업의 투자까지 이끌어낸 유튜브 영상 업로더들 요즘 한창 인터넷에 유튜브 영상 업로더에 대한 이야기가 떠들썩하다. 해외에서 어린 아동이 부모의 도움을 받아 촬영한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려 14억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많은 사람이 '뭐야? 이거? 대박. 나도 할 수 있을까?'이라는 작은 욕심 속에서 즐거운 상상을 해본다. 나도 과거 블로그에 책을 소개하면서 '유튜브 영상을 업로드하겠다.'이라고 말했었는데, 아직 그 약속을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내가 참여했던 문화 행사와 여기저기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촬영한 사진으로 영상을 만들어서 간간이 유튜브 채널에 올렸던 것이 전부였다. 역시 '하겠다!' 하고 말하지만, 실천이 어려운 건 정치 공약과 비슷한 것 같다. 매번 말로는..
정보/블로그 관련 노지 2014. 12. 19. 07:30
TV에서는 예능PD가 대세, SNS에서는 개인PD(유튜버)가 대세인 시대 얼마 전에 한 인터넷 기사를 통해 구독자 수가 약 100만에 이르는 한 유튜버(유튜브 동영상을 올리는 사람을 말함.)가 월 4천만 원 정도의 수익을 올린다는 기사를 우연히 읽어보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두 명의 유튜버가 각각 100만의 구독자 수와 80만의 구독자 수를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 이는 정말 놀랄 수밖에 없는 수준의 구독자 수였다. (유튜브 닉네임은 양평과 대도서관) 구독자 수는 곧 동영상 재생 횟수를 뜻하기도 하고, 그 업로더가 올리는 콘텐츠의 영향력을 뜻하기도 한다. 이 엄청난 구독자 수를 가진 그들은 인터넷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소위 말하는 아이돌 못지 않은 '대세'가 되어가고 있는데, 아프리카TV만이 아니라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