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8. 6. 18. 07:30
오늘도 우리 어머니는 살아가는 지침을 몸소 보여주고 계신다 이제 나이가 20대 후반에 이른 나는 가끔 ‘이제는 독립할 때가 되지 않았나?’라고 생각한다. 한국 사회에서 독립한다는 게 절대 쉽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 독립하지 못하는 이유가 내가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사뭇 죄책감이 든다. 유시민 작가도 한 인터뷰에 출연했을 때 이렇게 말했다. “대학에 들어간 학생들한테 가장 얘기해주고 싶은 거는 독립할 준비를 하라는 거예요.대학을 다닐 때 청년들이 생각해야 하는 것은 내 혼자의 힘으로 이 크고 험한 세상에 들어가서 살아갈 준비를 갖춰야 해요. 그게 대학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거예요.” 대학 생활을 하면서 취업 준비를 하거나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겠다는 고민을 하지만, 독립한다는 건 말처럼 ..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7. 6. 6. 07:30
언젠가부터 가족이 불편해진 당신을 위한 구작가와 엄마의 조금 특별한 그림과 이야기 오늘날 우리 사회는 초고령화 사회로 불린다. 점점 출산율이 낮아지는 데다가 수명은 길어져서 연령층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나 이제 결혼 안 할 거야.'라고 말하는 젊은 청년 세대를 우리는 어디서라도 쉽게 볼 수 있다. 지금 당장 글을 쓰는 나 또한 '나는 결혼 못 해. 그래서 안 할 거야.'라고 말한다. 우리가 이토록 가족을 만드는 일을 꺼리는 이유 여러 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경제적인 부담,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확신의 부족, 그리고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서 괴로움 등이 있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가족 해체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결혼하는 횟수보다 이혼하는 횟수가 더 가파르다. 이혼 가정이 늘어났다는 것은 또 다른 말..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7. 3. 07:19
강연100℃ 박향희, 대한민국의 엄마는 강하다. '엄마, 어머니'라는 말은 어느 누구에게라도 특별한 의미를 가진 단어라고 생각한다.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어디 있겠으며, 자식을 위해 희생을 아끼지 않는 부모가 어디 있겠는가? 특히 그중에서도 어머니는 더욱 많은 희생을 하시면서 가족을, 나를 위해 살아오시는 분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어머니'라는 그 단어 하나에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세상에서 많은 사람이 성공했다고 말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어릴 때 어머니의 가르침이 나를 이 자리에 있게 만들었다고 한다. 지금 미국의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그렇게 말했고, 미식축구의 슈퍼스타 하인스 워드도 그렇게 말했었다. 어머니가 자식을 어떻게 가르치느냐에 따라서 자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