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9. 3. 2. 07:30
나는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는 일이 별로 없었다. 원래 한국 교육이라는 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는 방식이 아니라 늘 강단에 서 있는 한 사람의 이야기를 일방적으로 듣고, 외우는 일이 전부라 내 의견을 표현하는 일이 별로 없다. 그러면서도 늘 교육에서 주체적인 생각이 중요하다고 하니 웃긴 일이다. 그렇게 19년을 살아온 나는 20살 대학생이 되어서 처음으로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그 발표는 당연히 대학에서 들은 수업의 일환으로, 같은 수강생을 청중으로 두고 해야 하는 프레젠테이션이었다. 이때 나는 원고를 외워서 준비했음에도 불구하고 똑바로 발표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너무 긴장해서 떨기도 했고, 손에 원고를 쥐고 있다고 생각하니 계속해서 원고를 쳐다보며 이야기하다 ‘원고를 자꾸 보면..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2. 9. 7. 07:16
사람을 움직이는 리더의 말, 거기에는 리더의 스피치 비밀이 있다. 요즘에 사회가 뒤숭숭하다 보니, 사람들 사이에서 '사람 간의 소통이 중요하다'는 말이 다시 한 번 더 떠오르고 있다. 지금 뉴스를 통해서 보도되고 있는 성폭행 사건이나 묻지마 범죄 등의 가해자들은 하나같이 사람과 소통이 단절되어있던 사람들이었다. 그렇게 소통을 하지 못한 것은 그 사람들 자신의 잘못도 있겠지만, 우리가 그 사람들이 고립되어 있어도― 작은 관심조차 두지 못한 잘못도 있다과 생각한다. 어느 집단에서 리더의 성향이 있는 사람들은 늘 사람들과 소통한다. 혼자 고립되어 있는 사람을 보면, 먼저 다가가서 따뜻한 말을 건넨다. 비록 그 행동이 처음에는 결실을 바로 얻지 못할지도 모르나, 차츰 그 사람은 마음을 열고 앞으로 나오게 된다...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1. 8. 8. 07:15
언어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추천하는 책 세 권 현대의 시대에서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시대라고도 불린다. 이 SNS의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SNS를 다루는 능력? 물론 그것도 중요하다. 아무리 타 능력이 뛰어나더라도, SNS를 제대로 다룰 줄 모른다면 그것은 무용지물이니까 말이다. 하지만, 그것만큼 중요한 것이 한 가지 더 있다. 바로, 언어능력이다. 그렇다면, 왜 언어능력이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시대에서 중요한 것일까? SNS를 이용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SNS에서는 그렇게 긴 글을 찾아보기 어렵다. 즉, SNS의 목적은 많은 정보를 간략하고 사람들에게 더 접근이 용이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한 능력을 키우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