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6. 11. 21. 07:30
불신과 음모, 갈등이 끊임없이 빚어지는 한국을 그린 소설 한국 사회는 날이 갈수록 엉망이 되어가고 있다. 현재 청와대는 검찰의 발표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면서 대립각을 세우고 있고, 탄핵이라는 단어까지 직접 꺼내면서 배수의 진을 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이러한 대처에 야당만 아니라 여당, 그리고 많은 시민은 분노를 쉽게 삭이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지난 토요일에는 최순실과 게이트 세력이 문체부에 압력을 행사하여 김연아에게도 불이익을 주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불난 집에 기름을 끼얹은 격이었다. 이와 함께 에서는 대통령의 7시간에 대한 의심을 한층 더 가중하는 보도를 했다. 도대체 어디까지 가게 되는 걸까? 지난 토요일에 참석한 집회에서 한 중학생이 이런 발언을 했다."박근혜 대통령은 까고 까도 양파처럼..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6. 9. 1. 07:30
오늘날 다시 번지는 그 날의 그림자를 우리는 잊어선 안 된다 내가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해서 배운 건 중학교 때의 역사 시간이었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많은 희생자가 나왔고, 언론을 장악한 군부 정부가 얼마나 무서운 존재인지 알 수 있게 해주었다. 하지만 솔직히 고백하자면, 나는 중학교 때 배운 그 역사를 '역사가 아니라 암기할 지식'으로 여길 뿐이었다.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없고, 그저 눈앞에 있는 시험을 잘 치기 위해서 무슨 일이 왜 일어났는지 이유를 외우는 것만 했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고등학교에 들어가 한국사 수업을 들었지만, 내내 딴짓을 하느라 잘 고등학교 때 선생님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말씀하셨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대학교에 와서도 나는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턱없이 좁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