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5. 12. 14. 07:30
자주적인 아이, 그리고 자유롭지만 예절을 아는 아이로 키우는 일본 엄마의 힘 일본어를 공부하게 되면서 나는 일본의 여러 문화도 함께 배웠다. 무엇보다 일본 애니메이션과 만화책, 라이트 노벨 같은 문화와 함께 문학 소설도 종종 읽기에 비교적 일본의 여러 문화에 상당히 호감을 느끼고 있다. 역시 어떤 나라의 언어를 공부하면, 자연히 애착이 생기는 것 같다. 그중 가장 내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한 것은 일본의 교육 방식이다. 일본도 우리 한국과 마찬가지로 진학 열기가 높은 나라로 유명하지만, 일본은 한국과 달리 좀 더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진학을 할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무조건 '진학'을 목표로 해야 하는 우리와 다르다. 내가 보낸 중·고교 시절을 떠올려보면, 학교와 학원을..
일상/사는 이야기 노지 2012. 5. 26. 07:14
한국임에도 불편한 한국인의 생활습관 몇 가지 아마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여러 사람들과 만나서 생활을 해나가다보면, 서로 맞지 않는 생활습관 때문에 상당히 곤혹을 겪었던 적이 한 두번쯤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사람의 생활습관이라는 것이 열 명 중에 열 명이 다 다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공통된 규칙 내에서 생활습관을 지키도록 가르침을 받곤 한다. 이것은 각 나라마다 그 문화적 특성을 지니는 하나의 고유한 특성이기도 하다. 한국인들의 생활습관은 '정'이라는 것에 상당히 녹아있기 때문에, 많은 생활습관이 사람들과 친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많다. 하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한국임에도 그런 습관들 중에서 불편한 것인 적잖게 있다. 이것은 내가 조금 특이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럴지도 모르겠지만, 아마 이 글을 읽는 사람..
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10. 12. 16. 06:59
남들에 비해 조금 딱딱한 나의 생활습관 예전에 " [일상] - 이런 내 방식이 이상한걸까? " 에서 저의 평소의 습관에 관하여 이야기를 조금 했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습관이 저도 다른 사람들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떄로는 그것이 너무 고정적이고, 유연하지 못해서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가 그렇게 많은 친구들을 사귀지 못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여러분은 평소에 생활할 때미다 하게되는 시간관리, 돈관리 등을 어떻게 하시나요? 아마 블로거분들이라면 철저히 시간을 지켜서 행동하지 않으실까 생각됩니다. 저는 하루 생활의 움직이는 시간계산을 분단위로 다 해놓습니다. 심지어 밥먹는 시간과 화장실에 있는 시간, 걸어서 이동하는 시간까지 모두 계산을 하여, 하루동안 오차범위를 1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