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3. 8. 07:00
땡큐 두 번째 만남, 대한민국의 모든 외로운 아버지에게 땡큐한 힐링 프로그램 아버지. 아버지라는 한마디의 말로 정말 많은 이야기를 그릴 수 있지 않을까? 우리 모두에게 아버지라는 존재는 특별한 존재다. 요즘 언론을 통해 볼 수 있는 '딸을 성폭행한 파렴치한 아버지'나 도박과 사건 사고로 빚을 가족에게 떠넘기고 도망친 '내 아버지' 같은 사람 말고는 대부분 가족을 위해 성심성의껏 열심히 오늘 하루를 보내고 있다. 하지만 그런 아버지들이 가족에서 소외당하거나 홀로 외로운 사람이 되는 예가 우리 사회에서 적잖다는 것은 너무 슬픈 이야기다. 이 글을 읽는 사람 중에서도 자신이 부모가 되어보기 전에 자신을 훈계만 하는 아버지가 싫거나 단순히 아버지를 '돈 벌어오는 사람'이라고 생각해보았던 사람이 꽤 있지 않을까...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1. 16. 07:00
드라마 학교 2013이 우리 사회에 던진 질문 하나, "정답 맞아요?" 우리는 청소년기에 "앞으로 나는 무엇을 하면서 살겠다.", "나는 무엇에 도전하여 반드시 이뤄내겠다." 등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비전과 목표를 세울 수 있어야 한다. 뚜렷한 비전과 목표를 갖고 사는 삶을 자기이유가 있는 삶. 진짜 자유로운 삶이다. 그런데 요즘 많은 청소년이… 아니, 대학생을 포함한 많은 청춘이 자기이유가 있는 삶을 살지 못하고 있다. 도대체 왜 그런 것일까? 거기에는 늘 한 가지 길만을 고집하는 사회와 부모가 있기 때문이다. 청소년기에 아이들은 자신이 가려고 하는 길에 스스로 질문을 던져보고, 고민해보고, 방법을 찾는 과정을 겪어야 한다. 그러나 이 필수적인 과정을 부모는 가만히 지켜보지 않는다. "넌 ..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1. 5. 07:00
땡큐, 혜민스님이 말하는 열등감을 넘어서는 법 우리가 삶을 살아가다 보면 '아, 난 도대체 왜 이러지…'라는 열등감에 자책할 때가 적잖다. 특히 이러한 열등감은 성인일 때보다 아직 어린아이일 때 더 많이 느낀다고 한다. '자살'이라는 안타까운 길을 선택한 학생들 중에서 상당수가 열등감 속에서 자신을 이겨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열등감이라는 존재를 내버려두게 되면, 자신의 마음속에서 더 크게 자라 자신을 괴롭히게 된다. 우리는 이 열등감을 반드시 넘어서야 할 필요가 있다. 한 번 생각해보자. 왜 우리는 열등감을 반드시 넘어서야만 할까? 그것은 열등감을 넘어서면, 자신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있으면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고,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면 항상 도전할 수 있는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