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4. 11. 24. 07:30
앞으로 한국에서는 싸게 팔면 안 되는 법이 더 생겨날지도 모른다. 나는 매달 약 15만 원의 비용을 책을 사는 데에 사용한다. 어떤 때에는 15만 원보다 적게 사는 때도 있지만, 어떤 때에는 15만 원이 아니라 20만 원을 넘을 때도 있다. 도대체 무슨 책을 그렇게 많이 사는지 궁금해할지도 모른다. 서점이나 책 방도 아닌데, 한 달에 15만 원을 사용하는 것이니까. 나는 자주 읽는 '라이트 노벨 시리즈'와 함께 종종 흥미가 있는 경제 혹은 인문학을 비롯한 실용도서를 구매하는 데에 그 정도의 비용을 사용한다. 할인폭이 적은 도서도 있지만, 조금 오래된 책은 꽤 할인율이 커서 책을 구매하는 데에 큰 부담은 갖지 않는다. 그런데 이렇게 자주 책을 구매해서 읽는 개인에게 조금 아픈 소식이 있다. 바로 도서정가제..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4. 7. 8. 07:30
방학마다 과제로 나오는 권장도서와 필독도서 읽고 글쓰기, 꼭 읽어야 하는 책일까? 세상에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과 책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다. 단순히 이분법으로 사람을 구별하는 건 옳지 않겠지만, 책 읽기에 대해서는 딱 이렇게 이분법으로 구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현저히 낮은 독서율로 언제나 책 읽기 문화에 대한 중요성과 여러 대책이 언급되고는 하지만, 의도와 달리 크게 효과를 보는 건 거의 없다. 우리나라의 낮은 독서율에는 분명히 자극적인 문화 속에서 책 읽기를 싫어하는 사람이 만다는 것도 큰 이유로 작용하겠지만, 난 딱 이분법으로 나누어지는 그 문화를 원인으로 보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낮은 독서율은 자극적인 문화 속에서 책을 좋아할 수 없는 이유보다 어릴 때부터 자란 환경 속에..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3. 10. 8. 07:30
북카페 두잇과 나눔 커뮤니티의 인문사회학 첫번째 강좌, '행간을 읽다' 요즘 어디를 가더라도 손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들고 있지 않은 사람을 보기가 어렵다. 그만큼 우리 주변에서 많은 사람이 책을 멀리하고, 스마트 기기에만 가까이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독서를 하지 않는다는 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미 예전부터 이 같은 문제는 꾸준히 제기되어왔고, 사람들이 책 읽기에 관심을 두게 하려고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러나 그런 노력은 전혀 결실을 이루지 못했다. 여전히 많은 사람이 책과 친해지지 못했고,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도 알지 못한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책 읽기는 지루하고 재미없는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뿌리 깊게 ..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7. 31. 06:33
독서고수가 말하는 아이를 위한 올바른 독서교육 방법은? 지금 우리 시대는 휴대용PC만이 아니라 각종 스마트 기기들이 전 세대에 보급되면서 사람들이 '책'을 읽는 모습이 더욱 보기 드물어졌다. 특히 아이들에게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을 비롯한 각종 스마트 기기들이 무분별하게 보급되면서, 아이들의 손에는 언제나 스마트 기기만을 들고 있게 되면서, 책이라는 것을 더욱 멀리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중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서 전자책을 읽는 사람도 상당히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넓은 시각으로 보았을 때, 스마트폰을 가지고 유용한 독서를 하기보다는 대부분이 순간적인 시간 떼우기 용으로 게임을 하곤 한다. 게다가, 스마트폰을 워낙 손에서 못하게 되면서, 심지어 스마트폰 중독현상까지 아이들..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10. 13. 07:11
1박2일 김종민 읽기문제, 웃을 일만 아닌 이유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독서의 양이 부족하다는 말을 최소 한 두번쯤은 접해보았으리라고 생각한다. 이 독서의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체감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고쳐지지 않는 고질병이다. 2010년 우리나라의 평균 성인의 독서율은 65.4%로 작년에 비해서 6.3% 포인트 감소를 했으며, 연평균 독서량은 10.8권으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 말이 뜻하는 것은 독서인구는 줄었으나 독서하는 사람의 연평균 독서량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즉, 책을 읽는 사람은 계속해서 꾸준히 읽고 있으나, 그렇지 않은 사람은 전혀 읽지 않을뿐더러 계속해서 책을 읽지 않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독서인구가 감소한다는 것은 그만큼 독서교육이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