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8. 12. 13. 09:03
한끼줍쇼 공덕동에서 들은 우리의 사는 이야기 이제는 많은 시청자의 사랑을 받으며 JTBC 장수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은 에 빨간 맛으로 큰 화제를 끌었던 레드벨벳의 슬기와 웬 디가 출연했다. 레드벨벳은 평양에서 공연했을 정도로 그 존재감이 남다른 그룹인데, 에서도 남다른 모습과 에피소드를 보여주었다. 두 사람이 함께 들린 장소는 공덕으로, 이 곳은 과거 VIP 도로(김포공항~광화문~청와대)로 자리를 잡으면서 기업이 많이 들어와 있다가 공항철도와 지하철의 배치로 급속도로 성장한 곳이라고 한다. 과거 서울을 방문했을 때 작은아버지 댁이 바로 여기 근처에 있어서 한 번 신세를 진 적이 있다. 하지만 그때는 벌써 8년 전의 이야기라 제대로 기억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번에 를 통해 내가 보지 못했던 공덕동의 ..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7. 12. 16. 22:00
황금빛 내 인생 최도경(박시후), 혜성 손자 자격 요구 포기에도 독립 포기 안 해 드라마 은 점점 더 재미있는 전개가 그려지고 있다. 오늘 토요일(16일) 방송된 에서는 최도경(역 박시후)이 집안에 확실하게 독립을 선언하는 그림이 그려졌다. 그는 독립 선언을 한 이후 자신이 가진 재산을 처분해 사업을 할 생각이었지만, 할아버지의 협박이 따라왔다. 혜성 그룹을 세운 할아버지는 "네 재산? 그건 네가 혜성 그룹의 손자이기 준 거야."라는 뉘앙스의 말을 하며 최도경의 독립을 막으려고 했다. 아마 할아버지의 입장에서는 최도경이 꺼낸 '독립'이 한낱 작은 흔들림에 불과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가진 것을 빼앗으면 취소할 거로 생각했던 거다. 할아버지의 말을 들은 최도경은 눈이 심하게 흔들리면서 미처 생각지 못한 타격..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7. 3. 1. 07:30
3.1(삼일절), 불의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었던 태극기 앞에 서기 부끄럽다 우리나라의 태극기는 많은 민중과 희로애락을 함께 한 존재다. 일제 강점기를 벗어나 독립할 때까지 많은 독립운동가가 태극기를 피로 묻히며 하늘로 떠났다. 일제 강점기 이후 찾아온 독재 정권에 저항한 많은 민중이 태극기로 굵은 피땀을 닦으며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지켜내며 세상을 떠났다. 그렇게 힘겨운 아픔을 이겨낸 태극기는 1988년 서울 올림픽과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새로운 상징이 된다. 태극기는 저항의 상징이 아니라 이때 온 거리를 수놓으며 우리에게 가장 자랑스러운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 월드컵과 WBC, 올림픽 등 국가 대표전이 열릴 때마다 우리는 태극기를 흔들었다. 그러나 삼일절을 맞이한 오늘, 우리는 태극기를 더는 자..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4. 8. 15. 07:30
오늘은 그냥 쉬는 날이 아니라 생각해야 하는 8월 15일 광복절입니다. 오늘 8월 15일 광복절이다. 이날은 우리 대한민국이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독립한 1945년 8월 15일이다. 그래서 오늘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고, 이번 2014년의 8월 15일은 금요일이 되면서 토요일과 일요일 3일을 연달아 쉴 수 있는 휴일이 완성되었다. 그러나 8월 15일은 단순한 공휴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어야 한다. 그냥 쉬는 날이 아니라 다시 한 번 더 우리나라의 과거와 우리나라의 오늘과 우리나라의 내일을 생각해볼 수 있는 소중한 날이 되어야 한다고 난 생각한다.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은 전 세계적으로 분란이 일어나면서 다시 한 번 더 그 끔찍했던 과거의 세계 대전이 재발하는 건 아닌가 하는 두려움을 가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