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10. 7. 07:05
부모의 어떤 말이 아이를 망치게 할까? 말. 우리는 말이 얼마나 큰 힘을 가지고 있는지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이 말이라는 것이 가까운 사이일수록 더욱 조심해야 되는 것이다. 말 한 마디로 친구간의 싸움이 나서 원수가 되어버릴 수가 있기 때문이다. 친구나 연인사이에서 그렇게 서로에게 어떻게 말을 하느냐가 중요하거늘, 하물며 부모와 자식간의 어떤 말이 오가는지는 얼마나 중요하겠는가? 부모들은 무심코 아이들에게 이런저런 말을 많이 한다. 그러한 말들 중에서 아이에게 정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만이 있으면 얼마나 좋겠는가? 하지만, 일부는 아이에게 적지 않은 상처를 주어서 아이가 속으로 끙끙 앓도록 하거나, 자칫 잘못하면 아이가 비뚤어진 길로 나아가게 만들어버린다. 만약 멀쩡하던 아이가 갑..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9. 29. 07:08
화성인 일회용녀, 교육적인 측면에서 해석해보니 며칠전 화성인 바이러스에 나왔던 한 인물이 큰 화제가 되었다. 그 인물은 물건을 사면 쓰고 난 뒤에 곧장 버리거나, 질려버리면 바로 버리는 일명 일회용녀라고 불리었다. 그녀가 버리는 물품이 저렴한 것이고, 더 이상 쓸 수 없는 것이라면 이해가 가능했지만, 그녀가 버린 것은 멀쩡한 고가의 DSLR이나 스마트패드 같은 제품들도 있어 시청자들과 MC들을 경악케 했다. 화성인바이러스에서 그녀가 버린 물품들이 들어가 있는 쓰레기봉투에서 내용물을 확인하면서, 이경규와 MC들은 서로 가져갈려고 아둥바둥을 하였고, 브이걸이나 작가들에게도 나누어주었다. 그야말로 쓰레기 봉투안에 쓰레기가 아닌 하나의 보물이 들어있는 셈이었다. 실제로 화성인바이러스에서 그녀가 사는 실제 모습을..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9. 24. 08:04
1등만을 고집하는 교육이 인재를 키울 수 없는 이유 우리나라의 교육 풍토는 다른 나라의 사람들이 보면 이상할 정도로 1등만을 만들어 내기 위해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물론, 1등이 안 좋은 것은 아니다. 로또 1등도 좋고, 성적 1등도 좋고, 행복지수 1등은 좋다. 하지만, 불행지수가 1등인 것은 최악이다. 정말 있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1등을 고집하는 교육풍토는 바로 불행지수를 1등으로 만들고 있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그러한 1등만을 고집하는 교육으로는 결코 이 시대에 걸맞는 인재를 키울 수가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에 공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교육에서 어떠한 개혁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그것은 잘못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 상황을 마땅히 한번에 바꿀 수 있는 타개책이 ..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9. 19. 07:24
청소년 범죄, 잘못을 가르치지 못한 교육의 문제 현재 우리에게 고교생 장난, 범죄, 폭행 등을 비롯한 청소년 범죄에 관한 뉴스를 접하는 것은 그리 드물지 않은 일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 많은 청소년들이 일탈행위를 하면서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 청소년 범죄율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를 하는 반면에, 그에 대한 대책은 여전히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나는 그러한 청소년 범죄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후의 강력대처방안만이 아니라 그러한 범죄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책을 확실히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아래의 두 가지가 이러한 청소년 범죄의 증가율을 유지시키는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첫째, 1등을 만들어내고, 1등만을 위해 시행되는 교육정책. 1등과 학벌만을 위주로 하는 교육 때문에 ..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4. 21. 07:01
교사만 질책하는 학부모들에게 우리나라에서 교육이 문제가 되고 있는 최근의 문제가 아니다. 이 글에서는 교사만을 질책하는 학부모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최근에 교권추락이다, 학생인권침해다 등 여러가지 말이 많지만, 그전에 근본적인 문제가 한 가지가 있다. 바로 학부모 자신에 대한 문제이다. 내가 이렇게 정의를 한다면, 일부 학부모는 고개를 갸우뚱 거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육이 발전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학부모의 태도라는 것을 알아주기를 바란다. 그렇다면, 학부모의 어떤 태도가 문제인 것일까? 학부모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하나하나 지적하자면 끝이 없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언급하자면, 바로 가정교육의 부재의 문제이다. 학교를 다니다보면, 사고를 친 아이들의 부모님이 학교 교사에게 ..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1. 14. 06:58
부모님의 지나친 집착이 아이를 망친다. 우리가 살면서 부모님에 의해서 성적같은 것으로 비교를 당한 적은 한 두번이 아닐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당신도 최소 한 두번 경험한 적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 때 공부를 하다가 , 잠시 어떤 이유로 공부가 하기 실어져서 놀아버리는 경우가 말이다. 그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은 역시 부모님의 과한 비교와 욕심이 아닐까 싶다. 나는 어릴 때부터, 계속해서 상당히 많은 비교를 당하면서 살아왔다. 심지어 지금도 비교를 당하며, 노골적으로 비난아닌 비난을 받고 있기도 하다. 중학교 때나 고등학교 때는 나에게 주어진 특별한 상황이 없었다면, 나는 정말로 공부가 짜증이나서 때려 치워버렸을 것이다. 필자가 살고 있는 김해에는 친인척이 상당히 많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