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5. 6. 27. 07:30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서 알아가는 것도 공부입니다.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공부'를 말할 때는 언제나 시험을 대비해서 영어 단어를 외우고, 수학 오답 노트를 작성하는 등의 일을 의미한다. 한국 청소년 평균 공부 시간이 하루 8시간이라고 하는데, 이 수치는 OECD 국가 평균 시간보다 2시간 이상 더 많은 시간이다. (정말 대단한 한국 청소년들!) 아마 우리는 모두 비슷한 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청소년 시기에 운동부로 들어가서 운동을 하거나 일찍 취업을 목표로 대학이 아닌 다른 길을 선택한 사람이 아닌 이상, 우리는 책상에 앉아서 무턱대고 책을 펼쳐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와 수능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 발버둥 쳤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서 그렇게 한 공부에서 기억에 남은 게 별로 없다. ..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3. 11. 23. 07:30
흡연, 음주, 멀티방 등 신종 유흥 업소를 들락거리는 수능 끝난 고3의 일탈의 이유 수능시험이 끝나고 정말 많은 고3들이 자유를 만끽하고 있을 것이다. 아마 그동안 편안하게 하지 못했던 게임을 즐기거나 영화를 보거나 음악회를 가거나 잠을 자거나 여러 취미 생활을 하면서…. 하지만 수능이 끝났어도 여전히 논술 준비와 면접 준비, 도움되는 스펙 미리 쌓기… 등 여러 가지에 시간과 돈을 투자하느라 수능이 끝났어도 바쁘게 사는 고3들도 정말 많을 것이다. 이런 일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자신이 원하는 대학에 가고자 한다면 필수적으로 겪어야 하는 또 하나의 관문이라고도 말할 수 있으니까. 한편, 논술 준비를 하지 않고, 완전히 자유롭게 사는 고3들은 정말 마음껏 여러 가지를 즐기고 있다. 그동안 고생했으니까 정..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11. 16. 07:11
한 장의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교육실태 우리나라 대한민국 학생들은 언제나 선행학습을 하는 것을 강요받는다. 초등학교 5학년 정도에서 결코 초등학교 수준의 공부만을 해서는 안되며, 최소한 중학교 수준의 공부를 시작해야한다. 그것이 우리나라가 강요하는 입시경쟁에서 살아남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학부모와 선생님이 공부를 가르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고3 수능시험이 끝나자마자 고2들은 고3모드로 들어갔다. 그와 동시에 중학교3학년들은 벌써 예비 고1준비를 하고 있다. 아니, 애초에 빠른 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중3들은 지금의 시기면 고1 과정은 1~2번 돌렸으리라고 생각한다. 아마 그 중에서는 고1학년이 벌써 고3모드로 공부를 하고 있으리라. 한국 교육은 결코 적정 수준에서 머무는 일..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0. 8. 22. 08:14
자의식이라는 늪에 빠져 허우적 거리는 10대들 사실 외모에 관심이 전혀없다고 말하는 것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성공한 사람들은 외면을 신경쓰기보다는 자신의 내면을 갈고 닦는 것에 더욱 열중한다. 자기계발도서나 성공에 관한 책에 보면 언제나 이런 말이 언급되어 있다. ' 자의식이 강하면 성공할 수 없다. ' 라고 말이다. 자질구레한 것까지 남의 시선을 신경쓰면서 하게되면 결코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또한 그렇게 되면 남들이 항상 자기를 의식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망상에 빠지기가 싶다. 그렇다면, 사춘기가 있는 10대들은 어떨까? 말할 필요도 없이 대부분은 모두가 자기를 의식하고 있다는 착각에 빠져서 망상을 하며 산다. 그렇기에 그들은 항상 외모에 관심을 가지고 외면만을 중요시..
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10. 8. 1. 20:47
재미있는 질문이 한 가득한 바통 와인리뷰글을 쓰고나서 문득 방명록에 새 글이 달렸기에 읽어보았다. 읽고 답을 단 순간 , 내 심정은 이랬다. ' 칫, 그냥 지우고 못 본걸로 할걸 ' 라고 생각한 것과 ' 음, 땜빵용 포스팅용으로는 딱이군 ' 라는 생각이었다. 뭐, 어쨋든 간에 일단 간만에 들어온 웃긴 포스팅거리이나 나름 성의껏(?) 답변을 쓰도록 하지. 난 워낙 거짓말을 못하는 성격(진짜? 음.. 내가 하는 말 중 98%는 진실)이고 AAA형이기 때문에, 나도 모르게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답변을 하게 된다. 그러니 다소 '이 녀석 뭐하는 녀석이야?' 라고 생각되더라도 이해해주길 바란다. 자 일단 질문에 대한 답을 시작하도록 하겠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나도 모르게 진심으로 답변을 달게 되니, 나한테 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