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대중은 김제동과 소통하고 싶어하는 걸까

반응형

이제는 수직적 조언보다 수평적 대화를 원하는 시대


 한때 자기계발서가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던 이유는 '누군가 나를 따끔하게 야단치기도 하고, 성공에 대한 비전을 심어주면 좋겠다.'는 욕심을 사람들이 품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 혼자 세운 비전은 쉽게 흔들리기 때문에 사람들은 나보다 더 높은 자리에 올라있는 사람의 조언이 필요했었다.


 그래서 자기계발서는 한때 불티나게 팔렸었고, TV에서도 멘토를 중심으로 해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리더십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가 방송되었다. 그런 수직적 관계 아래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추구했고, 자기계발이 없는 나태함은 우리가 물리쳐야 하는 천적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는 이런 방식에 점점 지치기 시작했다.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위해 투자해야 하는 비용이 갈수록 불어났고, 남보다 뛰어난 스펙을 갖추기 위해서는 꽃다운 나이에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그저 책상에 앉아 있어야만 했다. 뭔가 잘못되고 있는 듯한 기분이었다.


 점점 어두워지는 방황 속에서 우리에게 잠시 빛을 준 것은 '힐링'이라는 키워드였다. 자기계발을 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는 데에 지친 우리에게 힐링이 필요했다. '아프니까 청춘이다.'는 이런 흐름 속에서 최상위에 자리매김하였고, 사람들은 지친 마음을 회복하고자 힐링 도서와 강의를 찾았다.


아프니까 청춘이다, ⓒ노지


 그러나 이윽고 사람들은 다시 '힘들다.'는 말을 반복하기 시작했다. 서서히 힐링을 위한 시간을 가지는 데에도 돈이 필요해졌고, 돈이 필요해지니 다시 자기계발을 할 수밖에 없었다. 제자리에 멈춰있는 자신의 모습이 좋지 않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다시금 스펙 쌓기에 열중하기 시작했다.


 예전처럼 자기계발서를 읽는 게 아니라 새로운 시대의 흐름인 인문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다른 사람과 다른 스펙을 위해서 봉사 활동을 하거나 여러 기업의 인턴으로 들어가서 일하기 시작했다. 이 흐름 속에서 '열정 페이' 단어가 등장하면서 우리는 다시 작은 상처를 받고, 눈물을 흘렸다.


 사람들은 돈으로 하는 힐링이 아니라 마음으로 느낄 수 있는 진짜 위로를 찾고 싶어 했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사람들은 수직적 관계에서 벗어나 수평적 관계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했다. SNS에 사람들이 빠져든 이유는 오프라인의 수직적 관계에서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SNS로 사람들은 소통하면서 직위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이야기를 나누었고, 열린 시장에서 자신의 이야기로 가치를 만들어내는 일을 하기도 했다. 그게 바로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순간이었다. 특별한 사람의 평범한 이야기가 아니라 평범한 사람의 특별한 이야기로 공감하고자 했다.


ⓒ김제동의 톡 투유


 이런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뜬 인물이 바로 김제동이다. 김제동은 오래전부터 한쪽 무릎을 꿇어서 MC를 보는 모습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유명했다. 그는 수직적 리더십이 아니라 언제나 타인과 눈높이를 맞춰서 하는 수평적 리더십을 가진 사람이었고, 사람들은 그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했다.


 <김제동의 톡 투유>에서 본 김제동을 만나기 위해서 찾아온 사람들은 모두 그런 김제동을 원했던 것 같다. 그저 '아프니까 청춘이다. 참아라.'고 말하는 게 아니라 '그럴 수도 있죠. 전 그 마음을 응원하고 싶습니다.'이라는 말을 들으면서 늘 바뀌어야만 한다는 강박 관념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오랫동안 여러 특별한 사람의 평범한 이야기로 마음을 위로하고자 했던 프로그램 <힐링캠프>도 개편을 통해서 이 흐름을 타게 되었다. 김제동을 중심으로 하여 특별한 한 사람의 이야기로 무언가를 얻고 싶어하는 게 아니라 나와 같은 자리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로 바뀌게 되었다.


 개편되고 처음 방송된 <힐링캠프>가 많은 시청자의 지지를 받은 이유는 수평적 리더십을 가진 김제동과 함께 이야기를 편하게 나눌 수 있는 일반 대중의 참여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김제동은 늘 사람들의 이야기는 들어주면서 고개를 끄덕여주고, 웃음을 나눠주고, 함께 울어주며 같은 자리에 서 있었다.


ⓒ김제동의 톡 투유


 내가 김제동의 토크 콘서트를 들어보았던 적은 아주 오래전이었다. 봉하마을에서 고 노무현 대통령의 추도식과 비슷한 시기에 열렸던 그 토크 콘서트에서는 '정치 이야기' 같은 '웃긴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로 프로그램의 흐름은 대중과 같은 눈높이에서 소통하는 일이었다.


 그때부터 나는 김제동의 이야기를 정말 좋아했던 것 같다. 그래서 지금도 매주 일요일 밤마다 JTBC에서 방송되는 <김제동의 톡 투유>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앞으로 힐링캠프도 시청할 생각이다. 특히 <김제동의 톡 투유>는 방청 신청을 한 번했었는데, 아쉽게도 선정이 되지 못했다.


 그래도 다시 한 번 기회가 있다면, 또 신청해볼 생각이다. 내가 혼자서 가기 어려운 곳은 무리일 수도 있겠지만, 주말이라는 시간과 함께 적당히 KTX를 타고 이동할 수 있는 곳이라면 꼭 가서 그 자리에서 사람 김제동과 함께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서 나의 이야기도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저 나의 어떤 부분을 잘못이라고 하여 고치라고 야단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만의 색깔이죠. 다른 사람과 달라서 불편할 수도 있지만, 불행하지 않으면 됩니다.'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신만의 색깔을 분명히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필요한 말도 그런 말이다.



 오랫동안 우리는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위해서 오늘 웃을 시간을 포기해야 했고, 친구와 함께 세상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포기해야 했고, 쉬기 위해 시간을 만드는 것도 포기해야 했다. 그런 시간을 보내는 동안 우리는 점점 지치기 시작했고, 몸과 마음 모두 삶의 의욕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높은 자리에 오른 사람의 질책도 아니고, 따뜻한 목소리로 전도하는 듯한 사람의 위로도 아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나와 함께 같은 테이블에 앉아서 이야기를 나누면서 내 이야기를 들어주는 사람과 함께 공감하는 일이다. 자신감과 자신에 대한 사랑이 필요하다,


 사랑이라는 단어를 말하는 게 쑥스럽지만, 최근에 읽은 <곁에 두고 읽는 니체>를 읽어보면 자신을 사랑하는 일이 얼마나 필요한 일인지 깨닫게 되었다. 솔직히 나는 아직도 나 자신을 사랑한다고 말하지 못한다. 내가 보는 나는 결점투성이다. 뚱뚱하고, 목소리도 이상하고, 혀도 짧고, 기피증도 있고.


 하지만 이런 '넌 끔찍해!' 하면서 나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질책하기보다 나를 받아들여야 좀 더 좋은 인생을 위해서 나에게 투자를 할 수 있는 게 아닐까? 요즘 문득 그런 생각을 해본다. 비록 뚱뚱하지만 삶을 느긋하게 산다는 관점으로 생각하면서 '그래도 살은 빼야지.' 하고 생각하는 게 좋지 않을까… 싶지만.


 뭐, 우리 인생은 다 그런 법이다. 각자의 삶을 사는 데에 정답이 없듯이, 우리가 그리는 이야기에 가치를 매길 수 없는 법이다. 이제는 김제동이 보여준 것처럼 같은 시선에서 바라보는 일부터 시작해보자. 악바리처럼 저항하려고 하기보다 이런 나를 인정하고 작은 인간에서 벗어나 보자.


왜 고독할까?

자신을 제대로 사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순간적인 기쁨을 나누는 친구가 아무리 많아도

고독으로 인한 상처는 쉽게 치유되지 않을 것이다.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엇인가에 온 힘을 쏟아야 한다. (p81, 곁에 두고 있는 니체)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