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사는 이야기 노지 2017. 8. 31. 07:30
저는 대학생이라는 이름의 죄인입니다. 당신은 왜 대학에 다니시나요? 내일(9월 1일)이면 내가 다니는 대학교의 여름 방학이 끝나고, 2학기 개강이 시작한다. 2학기 개강을 맞아 열심히 시간표를 구상하며 조금 여유 있게 학교에 다닐 수 있는 시간표를 짜고자 했지만, 들어야 하는 수업과 듣고 싶은 수업을 함께 짜 맞추다 보니 2학기 시간표는 무척 힘든 시간표가 되었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억지로 학교에서 더 공부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 되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학교에서도 틈만 나면 나는 책을 붙잡고 책을 읽지만, 집에서는 학교에서 한 수업 내용 예습은커녕 복습조차 제대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부라는 건 평소 해두지 않으면 큰일이라는 걸 알지만, 좀처럼 쉽지 않다. 그래서 나는 서울의 명문대에 가지 못하고,..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7. 2. 15. 07:30
팟캐스트 녹취록, 대학 개강을 앞두고 고민하는 가야 할 사회 우리에게 '꿈'이라는 말은 굉장히 희망적인 말이기도 하지만 굉장히 절망적인 말이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꿈을 통해 희망을 보지만, 누군가는 꿈을 통해 절망을 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에게 꿈은 희망인가요? 절망인가요? 누구나 다 희망에 가까우면 좋겠지만, 어쩌면 절망에 더 가까울지도 모릅니다. 저에게 있어 꿈은 희망보다 절망에 가까웠습니다. 어릴 적의 저는 꿈을 꾸는 게 허락되지 않았습니다. 꿈을 꾸기 위해서는 성적이 좋아야 하고, 집이 평화로워야 하고, 부모님이 돈이 많아야 했습니다. 이것은 지금도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지금도 우리가 꿈을 이루기 위해선 금수저가 되어야 한다고 하죠. 너무 부정적으로 세상으로 본다고 생각하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12. 5. 07:30
OECD 청소년 행복지수 꼴찌인 헬조선에서 버티지 못하는 청소년들 수능 시험이 애초 예상보다 어려워 많은 수험생과 학부모가 혼란을 빚고 있다고 한다. 매해 수능 시험이 끝마치고 벌어지는 이런 풍경은 하나의 관례처럼 느껴지기도 하는데, 이렇게 혼란스러운 과정에서 앞으로 남은 삶을 포기해버리는 수험생이 한두 명 서서히 뉴스를 통해 보도되고 있다. 지난 12월 3일, 나는 아침 뉴스를 통해서 수능 시험 성적 배부일에 한 수험생이 아파트 화단에 떨어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작년에도 그랬지만, 역시 올해도 수능 시험 성적의 부진으로 인한 괴로움을 이기지 못하는 안타까운 어린 청춘의 소식을 들을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우리는 이런 수험생에게 어떤 말을 건넬 수 있을까? '다 지나가기 마련이다.',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3. 11. 27. 07:30
요즘 문득 어머니께서 '공무원시험 쳐서 그냥 공무원 해라.'고 자주 말씀하셨습니다. 대기업 취직만큼 우리나라의 많은 사람이 꿈꾸는 직업이 있다. 무엇일까. 누구는 연예인이라고 말할지도 모르겠지만, 요즘 초등학생들도 장래희망 1순위로 적는 '공무원'이라는 직업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사람이 공무원이 되기 위해 4년제 대학을 가서 도서관에 틀어박혀 열심히 공부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정말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자신의 인생 모두를 걸 정도로 열정적인 사람도 있겠지만,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사람 중 상당수가 그냥 '안정적인 직업' 혹은 '어릴 때부터 줄곧 공무원이 되라는 말을 들어서'이라는 이유가 아닐까. 나는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비난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사람들이 그렇게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이..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3. 1. 07:00
고시공부에 자신의 청춘을 소비하는 이들에게 아이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해서, 막상 꿈에 그리던 대학교를 가더라고 그렇게 많이 변하는 것이 없다는 것이 사실이다. 아마 이 부분에 대해서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공감하지 않을까 한다. 왜냐하면, 나도 대학교만 가면 뭐가 엄청나게 달라지는 줄 알았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개인적인 시간이 많아지는 것 이외 그렇게 달라지는 것은 없다. 특이한 것은 도서관을 가보면 토익공부, 공무원공부 등 대부분이 같은 공부만 하고 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 그런 아이들은 이런 이유로 그러한 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고시합격, 자격증 취득, 전문대학원 입학은 사회적 승인, 직업의 결정, 경제적 자립 심지어 결혼과도 같은 숱한 불안의 근원적 문제들을 한 번에 해결해주리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