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11. 5. 5. 07:04
오늘은 어린이가 주인공인 어린이날이랍니다. 여러분, 드디어 그 날이 찾아왔어요! 오늘은 우리의 아이들이 주인공인 5월 5일 어린이날이랍니다. 아마, 많은 블로거분들도 아이들을 데리고 어디 외출이라도 하시지 않으실까 생각이 되네요. 물론, 저처럼 아직 학생인분들은 방콕을 하거나 연인이 있다면 데이트를 즐기기에도 아주 좋은 날이지요. 이 글을 읽는 여러분께 한 가지를 여쭙고 싶습니다. 여러분들의 어릴 때 무엇이 가장 행복한 기억으로 남아있나요? 저는 이런저런 사정으로 인해서 초등학교까지의 시간은 정말 기억하고 싶지도 않은 시간이었기 때문에, 어릴 때의 기억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요. 아마, 그때는 큰 불행이 너무 많아서 주위에 있는 작은 행복을 제대로 느끼지 못했었겠죠. 그래서, 저는 오늘같은 날은 한 가지 ..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1. 2. 26. 07:06
행복해지기 위해 명상을 하라고 말하는 책 명상.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단어이면서도, 왠지 멀게만 느껴지는 단어이다. 나도 처음 '삶으로 명상을 가져오는 법'이라는 책을 읽을 때 상당히 겁을 냈었다. 하지만, 읽으면서 명상이라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며,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나는 여기에서 왜 우리가 명상을 해야 하는지 잠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무한경쟁의 시대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언제나 바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언제나 해야 하는 일이 산더미같이 쌓여 있고, 조금도 쉬지 않고 생각해야만 하는 처지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들은 불행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그 주위를 맴돌며, 계속 그렇게 살아가는 수밖에 없다. 그들은 자신을 바꾸기 위해서 많..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0. 10. 3. 06:47
30초면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비법 많은 사람들이 행복히질려면 웃으면 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슬플 때나, 힘들 때 되도록 웃을려고 노력하지요. 하지만 웃을 때 방법에 따라 더 큰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사람은 행복할 때 웃지만, 웃기 때문에 더 행복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이 효과는 그 사람이 자신의 미소를 의식하든 않든 상관없이 나타납니다. 이 내용은 59초에서 언급되어 있는 내용입니다. 프리츠 스트랙 연구팀은 두 집단의 사람들에게 게리 라슨의 만화 한 편이 얼마나 재미있는지 점수를 매기라고 한 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얼마나 행복을 느끼는가에 대해 평가해보라고 했다. 한 집단에게는 연필을 입술에 닿지 않게 이로 물라고 했었다. 다른 집단에게는 연필 끝부분을 입술로 물되..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0. 7. 14. 06:41
제목 : 배려 저자 : 한 상 목 이 글은 다음블로그에 올렸던 것을 가져온 것임. (재발행) 추가로, 제 책을 빌려간 사촌이 책을 분실 하는 바람에 부득이하게 직접 찍은 책 사진을 실을 수 없었음. 옆에 있는 사진은 YES24에서 가져온 것임을 여기에 명시함. 내가 이 책을 읽었을때, 나는 이 책이 나 같은 학생이 아니라 기업체에서 일하는 사람이 반드시 읽어야 된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 " 남을 배려해라 " , "배려하는 마음가짐을 가져라" 등 과 같은 말을 수십번도 더 들었을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제대로 사람고 사람이 한 인격체로서 남을 진정으로 배려하는 자를 보지 못했다. 지금은 가식적인 웃음. 즉, 자기의 이익을 위해 억지 웃음을 지니게 되고 거짓된 배려로 남을 속이고 있다. 이러한 현대..
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10. 2. 13. 07:45
일단 한 군데 합격했습니다. 오늘 전화해서 합격했다고 말해주더군요!!! 정말 기쁘기 그지 없습니다ㅡ ! 다른 곳은 한군데는 한 자릿수 , 나머지는 두 자릿수 입니다. 아직 5일이나 남았는데요, 하루에 2명씩만 빠져도 다 합격합니다 ^^ ; 시크릿의 힘인걸까요!?ㅋ 여튼, 설 연휴시작을 대학합격 소식과 함께 시작하여 너무나 기쁩니다 ^^ 이번 연휴 즐겁고 행복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ㅡ ^^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09. 12. 23. 15:49
예, 오늘 읽은 부분 중 몇개를 쓰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말씀 드릴게 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에게) 제가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단순히 순수한 동기입니다. 저의 선생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지식은 공유하는 것이라고. 지식은 공유할때, 그 가치가 있는 것이고, 공유할때, 더욱더 쓸모가 있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저의 이 작은 지식이나마 공유하고 싶고, 알리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쓰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야기를 시작해 볼까요? - 행복은 왜 중요할까? 무엇보다도, 행복하면 기분이 좋다. 단지 그것뿐만이 아니다. 행복은 삶을 좀더 즐겁게 만드는 데 그치지않고, 직장에서 성공을 거두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오해하는것중 하나가, 성공해야 행복해 질 수 있다고 한다 그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