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6. 9. 6. 07:30
단박에 한국사, 역사는 외우는 게 아니라 이해하는 것이다 역사를 아는 일은 중요하다. 단재 신채호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말할 정도로 역사는 오늘 우리가 내일을 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마 많은 사람에게 역사가 중요하냐고 묻는다면, 열의 열은 '그렇다'고 대답할 것이다. 역사는 우리가 한목소리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실제로 역사를 알기 위해서 특별한 일을 하느냐고 묻는다면, 열의 아홉은 고개를 가로저을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는 중고등학교 때 수업 시간에 역사를 배운 이후, 솔직한 심정으로 책을 읽지 않는 이상 역사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영화, 드라마를 통하지 않는 이상 거의 전무하다. 사람들은 사는 게 바빠서 그렇다고 말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우리가 역사..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10. 15. 07:30
선거철이 다가오면 항상 일어나는 색깔과 이념 논쟁 지금 우리 한국은 주변 나라의 상황에 신경을 쓰지 못할 정도로 내부에서 시끄러운 싸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전쟁할 수 있는 나라가 되어버린 일본이 이제 역사 왜곡과 우경화를 앞세우기 위해서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관심을 두지 않고, 그저 나라 내에서 일어나는 일에만 급급한 지경이다. 우리나라가 이렇게 된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딱! 하나의 원인으로 요약할 수 있다. 바로, 과거에 눈이 멀어 무책임한 국정 운영을 한 바보 대통령과 그 밑의 수하가 일으킨 역사 쿠데타가 그 원인이다. 단지, 이 사건 하나로 우리나라는 앞과 뒤와 옆을 볼 수 없을 정도로 혼란의 도가니에 빠져버렸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민주주의 나라에서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다. 정..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3. 9. 13. 07:30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지정과 한국사 교과서 역사왜곡, 그 사건을 통해 본 불편한 진실 우리는 어릴 때 학교에 들어가서 교과서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선생님과 부모님이 읽어주시는 책을 통해 가치관을 형성한다. 그런데 만약 이 교과서와 책이 잘못되어있다면, 우리의 가치관은 어떤 식으로 형성될까? 그건 말할 필요도 없다. 잘못된 방향으로 가치관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을 확률이 높다. 게다가 그것이 현실을 똑바로 직시하지 못하고, 좀 더 왜곡된 현실을 바라보게 한다면… 하물며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인 역사를 잘못 보게 한다면… 정체성을 잃어버리게 하는 일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 일제 시대 때 우리 대한민국은 일본이 완벽히 흡수시키기 위해 '민족 말살 정책'을 실시하며 우리나라 말, 우리나라..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3. 6. 4. 08:30
송일국 서명운동, 서경덕 교수와 함께 '한국사 필수과목'만든다, 왜? 요즘 뉴스를 통해 들을 수 있는 '일베 사건'과 '뉴라이트 교과서 사건'을 보면, 정말 속이 타들어 가는 듯하다. 아마 이런 감정을 느끼는 건 나만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최근 큰 논란이 된 일베에서 터뜨린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북한 괴뢰군이 개입한 5·18 항쟁이다'고 주장하는 부분은 정말 많은 공분을 샀었다. 또한, 이처럼 역사를 왜곡하는 사람들만이 아니라 왜곡된 역사를 사실로 믿는 사람들, 그동안 우리 조상이 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으로부터 지켜온 역사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우리는 이런 현상을 지켜보며 '이런 방식으로 더는 나아가서는 안 된다.'고 자각하고 있지만, 모두 어떻게 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