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21. 2. 26. 09:26
요즘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우리 정치와 경제, 사회 각종 분야에서는 잘 알지 못하는 단어를 활용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뉴스를 조금만 살펴보아도 ‘코로나 팬데믹 현상’ 같은 말을 어렵지 많게 만날 수 있다. 코로나는 알겠는데 ‘팬데믹 현상’은 무슨 현상을 가리키는 걸까? ● 팬데믹 세계 보건 기구(WHO)가 감염병의 위험도에 따라 부여하는 1~6단계의 등급 중 최고 위험도인 6단계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이 말의 출발점은 고대 그리스어로 ‘모든 (all)’을 뜻하는 pan과 인구를 뜻하는 demic의 합성어로, 감염병이 세계적으로 대유행, 즉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인구를 위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팬데믹’이라는 말은 바로 위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굳이 우리가 팬데믹의 어원까지 알 필요는 없지만, 적..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6. 5. 14. 07:30
대학 OT·MT·축제에서 벌어지는 추태는 연대 책임으로 방지할 수 있을까? 매해 대학 OT MT 현장에서 벌어진 갖은 추태는 언론을 통해 보도되며 '이것을 자유라고 허용해줘야 하나?'는 OT MT 행사 자체의 존재에 대한 질문을 가져왔다. 대학생을 비롯한 일부 사람은 이 사건으로 OT MT 두 행사를 폐지하는 건 말도 안 된다고 하지만, 문제의 심각성은 생각보다 심각하다. 우리는 언론 보도를 통해서 신입생에게 음식물 찌꺼기를 섞은 술을 뿌리거나 갖은 성추행, 성폭행 등 다양한 사건이 연루된 대학 행사를 보아왔다. 비단 OT MT 행사에 한정하지 않고, 대학 축제 내에서도 낯 뜨거운 낱말과 수식어를 사용해서 비판 보도가 나온 적도 적지 않았다. 배움의 전당이라고 말하는 대학의 이런 추락은 어제오늘의 일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