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7. 11. 24. 07:30
취업하고 보니 블랙기업, 노동자의 작은 권리조차 지켜지지 못했다 얼마 전에 뉴스를 통해서 현장 실습으로 근무하는 한 중소기업에서 고등학생이 사망한 사건이 들었다. 사람들은 이 사건을 접한 이후 현장 실습을 하는 학생을 똑바로 사람 취급을 하지 않고, 오로지 값싼 노동력으로 취급하며 제대로 기업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면서 강한 비난을 가했다. 누구라도 이렇게 어린 학생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으면 안타까운 마음이 들 수밖에 없다. 한국의 노동 시장은 겉으로 최소한의 권리를 최선을 다해 보장하고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법 규정을 교묘히 피해갈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기업은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해주려 하지 않는다. 현장 실습을 통해 사망한 고등학생의 사건은 이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6. 4. 7. 07:30
사장의 길을 걷는 것은 점점 거칠고, 외롭고, 단단해지는 일이다. 우리는 책임 지는 리더가 되고 싶어 하지는 않지만, 사장님 소리를 듣는 직업을 가지고 싶어 한다. 매번 아래에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는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보다 자신이 주인이 될 수 있는 직업을 가지고 싶어 한다. 우리가 금수저를 물고 태어나 갖은 대우를 받는 사람을 부러워하는 이유가 이렇지 않을까? 사장의 길을 걷는 건 대단히 부러운 일 같다. 한가하게 골프를 치고, 어디를 가더라도 좋은 차와 좋은 옷을 입고 다니고, 먹고 사는 일에 있어 걱정하지 않을 것 같으니까. 아마 '사장'이라는 직업을 부러워하는 사람의 사장 기준은 연 소득 50억 이상을 버는 중기업 이상의 사장이 아닐까 싶다. 똑같이 사장이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어도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4. 8. 21. 07:30
20대 사회초년생의 첫 월급은 얼마가 적당할까? 150만 원 일자리 거부한 이야기 대학을 졸업한 20대의 취업난에 대한 이야기는 우리에게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지금도 많은 20대가 '가고 싶은 직장', '일할 수 있는 직장'을 찾지 못해 아등바등하고 있다. 해마다 열리는 취업박람회를 쫓아다니며 정보를 수집하고, 토익을 공부하며 한 개의 스펙이라도 더 더하기 위해서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이런 일이 오랫동안 지속하는 이유는 표면적으로 볼 수 있는 이유 그대로 경제가 좀처럼 활기를 El지 못하기 때문에 안정된 일자리 수가 부족한 것에서 찾을 수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구직자가 원하는 기대치에 미치wl 못하는 일자리에 눈을 돌리지 않는 것도 인정할 수밖에 없는 원인이라고 생각..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2. 20. 07:00
드라마 광고천재 이태백을 통해 보여준 사람과 돈의 싸움 우리나라의 학생들에게 꿈이 무엇인지를 물어보면, 상당히 많은 수의 학생이 '공무원이 되는 거요.' 혹은 '대기업에 취직하는 거요.'라고 답한다. 참으로 현실적인 꿈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겨우 자신의 꿈이 '대기업에 취직하는 것'이라는 것이 너무 안타깝다. 물론, 여기에 자신만의 비전과 목표가 있다면 그것은 가치 있는 꿈일 것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이 '안정적이고, 돈을 많이 벌 수 있으니까.'라는 이유로 그 꿈을 추구한다. 또한, 그 꿈을 가지게 된 것은 자신의 의지가 아니라 어릴 때부터 부모님께 배운 물질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버릇 때문이다. 평소 뉴스를 통해 대기업의 횡포를 우리는 자주 들을 수 있다. 지금도 대기업의 횡포는 멈추지..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0. 10. 8. 06:43
절벽에서 기어 올라온 사람들의 이야기 사회 생활을 해나가다보면, 이런 사람들이 가끔씩 보인다. 남들이 보기에는 충분히 안정적인 직장인데, 그 직장에서 뛰쳐나와 모험을 하는 사람. 까마득한 절벽에서 기어오르는 사람. 남들이 안된다고 해도 기어코 도전을 하는 사람. 우리는 그 사람들을 어떻게 부르는가? 바보? 멍청이? 아니다. 우리는 그 사람들을 성공가로 부른다. 예전에 ' 평범한 직장인에서 1000억대 CEO가 될려면? ' 이라는 글에서 이야기했었다. 변화를 두려워하면 사람은 앞으로 더 이상 나아갈 수 없다고. 이 책에서 나오는 사람들 또한 남들이 보기에는 어리석기 그지 없었다. 하지만, 그들은 변화를 수용하며 무대에 뛰쳐들었고, 모험을 했다. 그리고 그들은 그 결과 성공이라는 것을 짊어질 수 있었다.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