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6. 6. 22. 07:30
다시금 제국주의 바람이 일어나는 현대를 이해하기 위한 최소의 역사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고, 경제를 공부하고, 문화를 공부하고, 언어를 공부하는 이유는 지금 우리가 사는 시대의 흐름을 읽기 위해서다. 우리가 사는 시대는 한 나라의 움직임으로 세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상황으로, 지난주에 갑자기 상승하기 시작한 엔화 가치 또한 그중 하나로 우리는 해석할 수 있다. 갑자기 엔화가 상승한 이유를 알기 위해서 우리는 일본의 경제 정책과 그에 반한 미국의 달러 정책과 금리 동결에 대한 이유, 그리고 지금 한국 경제의 상태와 정치 방향 등을 참고해서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만약 이러한 것을 넓게 볼 수 없다면, 우리는 그저 눈뜬장님으로 세상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 사람은 아는 만큼 볼 수 있는 법이다. 예전에는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6. 3. 29. 07:30
책 '세컨드 핸드 타임'을 읽으며 생각해본 우리의 선택과 살아가는 방식 사람은 누구나 정의의 편을 좋아한다. 약자의 편을 들면서 약자를 억압하는 부덕한 강자를 처벌하고 싶어 하고, 자신 또한 그런 약자의 편에 서는 강자가 되고 싶어 한다. 사람들의 이런 심리를 이용해서 사회와 정치 분야에서는 서로 자신들이 약자의 편에 서 있는 인물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여기에는 우리가 알지 못한 비밀이 있다. 사람들은 모두 자신이 정의의 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정부, 사상을 지지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런 정의는 아무래도 좋은 선택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단지 사람들은 자신이 선택한 선택지에 대해 좋은 변명을 붙이고 있을 뿐이다. 얼마 전에 알라딘 신간 평가단 활동으로 읽게 된 소설 을 상당히 놀라웠다. 책은 그..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10. 21. 07:30
한국의 중·고생도 반대하고, 심지어 일본인도 반대하는 한국의 국정 교과서 우리는 역사 교과서를 통해서 역사를 배울 때마다 그 시대에 일어난 사건이 어떤 상황을 배경으로 일어났는지 이해하는 것보다 단순히 암기하는 방향으로 배웠다. 우리가 역사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연도, 각종 제도를 그냥 달달 외우면서 이해와 적용은 빠지고 말았다. 그래서 역사 과목은 언제나 어려운 과목이었다. 다른 과목에 비해서 외워야 할 것이 너무 많았고, 특히 서울대를 비롯한 수도권 상위 대학교를 목표로 하는 수험생이 치르는 과목이라 자연히 중상·하위 대학을 노리는 학생들 사이에서는 한국사를 사회 탐구 과목으로 선택하는 사람은 자연히 줄었다. 이런 상황이 지속하자 교육부는 '한국사를 필수 과목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에..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10. 13. 07:30
한국인은 미쳤다? 절망이 익숙한 나라? 부정할 수 없는 현실 지금 우리 한국이 연신 소음으로 인상을 찌푸린 사람들의 모습이 보인다. 지난 토요일부터 시작한 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 넥센과 두산의 경기의 영향도 있겠지만, 운동장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발생한 논란이 그 원인이다. 심지어 여기저기서 '말세다, 말세!'이라는 말이 심심찮게 나온다. 우리 한국 사회가 이렇게 시끄러운 이유는 정부가 주도하려고 하는 국정 교과서 제도 때문이다. 도대체 국정 교과서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하자면, 정부의 주도로 교과서를 발행한다는 뜻으로, 북한을 비롯한 일부 독재 국가와 아직 권위주의 정부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 나라의 교과서다. 이런 국정 교과서는 획일화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과거 일제 강점기 시절에 일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