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7. 2. 2. 07:30
한국 사회는 죽도록 노력해서 평범해지는 게 목표입니다. 이게 정상입니까? 나는 어릴 적에 주변 친구들로부터 '세상 비판 노지'라는 별명으로 불린 적이 있다. 나는 사회를 배우면서 항상 세상의 시스템이 잘못되었다고 비판을 자주 했었다. 그래서 몇 아이들이 별명을 '세상 비판 노지'로 지었는데, 썩 나쁜 별명은 아니었다. 그만큼 나는 좀 더 일찍 세상을 보았다고 생각한다. 옛날에는 '무슨 애가 꿈이 없어? 좀 현실을 긍정적으로 봐라.'고 말하겠지만, 요즘에는 이런 모습을 하지 않는 게 비정상이다. 이미 아이들은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부터 경쟁 사회에 내몰리고 있다. 좋은 유치원에 가기 위해서 부모들이 입에 거품을 물고 달려든다. 아이들은 너무나 일찍 꿈을 잃어버린다. 우리에게 꿈이란 그저 미래에 내가 갖고 ..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5. 11. 26. 07:30
도전이 청춘의 의무는 아니지만, 도전할 때 청춘은 가장 빛난다. 20대의 삶을 사면서 가장 고민하게 되는 것은 '앞으로 무엇을 하면서 살아야 하나?'는 문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취업하기 위해서 평범하게 토익 공부와 자격증을 따기 위한 공부를 통해서 스펙을 쌓을 수 있는 시간을 보내라고 말한다. 그것이 나중에 좋은 직장을 구하고, 후회하지 않는다며…. 그런데 당연하게 보이는 이 일반적인 의견은 솔직히 완전히 공감할 수 없는 의견이다. 시간이 지나면 단순히 과거에 불과한 시간을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게 아니라 해야 하는 일만 한다는 것은 너무나 시간을 허비하는 게 아닐까? 내가 좋아하는 일에 투자하는 게 아닌, 남의 기준을 채우는 일이니까. 지난 9월에 나는 이라는 글을 통해 도전에 강한 의무감을 부..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0. 7. 12. 07:19
성공으로 가는 밀리언티켓 받으실래요? 제목 : 밀리언티켓 해재 : 공병호 저자 : 리처드 파크 코독 이 글은 뷰에 송고하기 위해 재발행 되었습니다. 이 책을 읽었던 고등학교시절 나는 성공을 꿈꾸며 , 성공에 관한 책을 거의 모조리 싹쓸이 하다시피 읽어가고 있었다. 그 당시에 내가 읽었던 책 중에서 ' 마시멜로 이야기 ' 와 ' 밀리언달러 티켓 ' 이 가장 명료하고 성공의 비밀을 적어놓은 것 같다. 왜 내가 이토록 성공에 집착했을까? 그것은 바로 이 현실, 이 세계를 좀 더 변화시키고 싶기 때문이다. 나는 나와 같은 처지에서 절망에 빠지지 않는 사람이 없기를 바란다. 그러기 위해서는 절망에 빠질지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희망이라는 것을 전해줄 필요가 있었다. ' 밀리언티켓 ' 이 책의 이야기는 한 현실에서 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