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25. 9. 16. 08:50
지난 월요일(15일)부터 우리는 제2차 민생회복소비쿠폰은 아니지만 또 하나 놓칠 수 없는 페이백 혜택 신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바로, 첨부한 사진에서 볼 수 있는 쓸수록 돌아오는 소비혜택 상생 페이백이다. 제목에서 볼 수 있는 '상생'과 '페이백'이라는 말을 통해 우리는 내가 쓴 금액의 일부를 돌려받는 것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상생 페이백은 지난 2024년 월평균 카드 소비액을 기준으로 2025년 9~11월까지 늘어난 월별 카드 소비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으로 돌려주어 소비진작 및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여기서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은 2024년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2025년 9월~11월 카드 소비액이 늘었어야 한다는 점이다. 카드를 아무 문제 없이 계속 사용한 사람들은 소비액..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25. 3. 13. 15:35
근로복지공단(이하 근로복지넷)에서 지난 2월을 맞아 신청했던 소액생계비 대출이 최종적으로 받을 수 없게 되었다. 근로복지넷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는 일반 근로자 융자 신청은 혼례비, 장례비, 소액생계비 등 다양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데, 나는 여기서 소액생계비(최대 200만 원)를 받고자 융자 신청을 했다. 소액생계비 융자 신청 조건 기본적으로 근로복지넷을 통해 소액생계비를 신청할 수 있는 근로자는 월평균 소득이 252만 원 이하인 근로자다. 나는 기존에 월 180만 원 정도의 임금을 받다가 작년부터 월 80만 원의 임금을 받고 있다 보니 충분히 신청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생계비 대상은 직전 달의 월 소득·매출에 비하여 30% 이상 감소했을 때 가능했기 때문이다. 자는 30%가 넘는 수준으..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4. 1. 27. 07:30
개인정보 유출에 대응하는 자세에서 본 소외받은 사람들의 슬픈 자화상 얼마 전에 우리 한국에서는 거의 전 시민이 피해자가 되는 하나의 사건이 발생했다. 바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용하는 카드사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다. 아마 지금 이 글을 읽는 사람도 그 사건의 피해에서 벗어나지 못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지금 글을 쓰는 나도 그 사건의 피해자 중 한 명이다. 이번 사건은 우리 시민들에게 '연말을 앞두고 멘붕을 안겨준 사건'으로 기록되지 않을까.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는 인터넷에 정말 많은 것을 의존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가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하기 위해서 '개인정보 제공 동의'를 하고 가입을 해야 하고, 결제하기 위해서도 '개인정보 제공 동의'를 해야 한다. 인터넷에 많은 것을 의존하고 있어 개인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