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7. 21. 08:37
'아이들의 마약' 스마트폰, 아이들에게 이미 필요악으로 자리잡아… 요즘은 정보화 시대를 뛰어넘어 스마트 시대라고 불린다. 지금 이 시대에서 아마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을 찾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다. 아마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사람들도 대부분 스마트폰을 비롯한 태블릿PC와 같은 각종 스마트 기기를 한 두 개쯤은 사용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만큼 지금 시대에서는 스마트폰이라는 것이 흔해졌다. 이 스마트 기기들의 가격이 저렴하지 않음에도, 어른들만이 아니라 많은 아이가 그 같은 기기들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런 스마트 기기는 아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부정적인 영향이 대두되면서 아이들의 교육문제에서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하나의 골칫덩어리고 자리 잡고 있다...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5. 24. 07:20
다가온 스마트시대, 우리 교육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를 '지식정보화 시대'라고 부른다. 그리고 곧 우리 앞으로 다가올 시대를 '스마트시대'라고 많은 사람이 부르고 있다. 아니, 다가오고 있다고 하는 표현보다 이미 다가왔다고 표현하는 것이 옳은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스마트기기들이 우리의 일상 속에 들어와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한 번 생각해보자. 다가온 스마트시대를 맞아서 우리는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아니, 우리를 달라지게 하는 교육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지식정보화 시대에는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가장 우선시 되었다. 하지만 스마트시대에는 어떤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어나갈 능력이 가장 우선시 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5. 23. 07:08
다가올 스마트 시대의 비전을 말한 스마트 토크 콘서트를 가다. 우리에게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의 단어는 생기지 얼마 되지 않은 새로운 단어들이고, 이 같은 스마트기기가 우리의 손에 들어온 지는 더욱 얼마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 같은 단어와 기기들은 이미 우리에게 하나의 일상으로서 자리를 잡고 있으며, 지금 우리 대한민국에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더 드물 정도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이 같은 스마트 기기의 시장에서 블루오션을 발굴 해내고 있으며, 앞으로 다가올 스마트시대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만의 추세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이 같은 스마트 기기들이 앞으로 열 '스마트시대'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바로 그 스마트시대를 맞이하여 청춘들에게 앞으로 어떤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