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25. 1. 30. 09:33
숏폼 영상을 통해서 우연히 접한 영화 의 한 장면을 본 이후 이 영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검색을 해보니 영화 은 작년 12월 4일을 맞이 개봉한 영화였는데, 손익 분기점 180만 명의 1/6 수준인 약 30만 명의 관객을 기록하면서 일찍 상영관에서 내려와 IPTV VOD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한 영화이기도 했다. 다른 누구도 아닌 송강호 배우와 함께 박정민 배우가 주연으로 등장하는 영화임에도 손익 분기점을 넘기지 못한 것이 이상하게 여겨졌다. 예고편을 보거나 숏폼 영상을 통해 접한 한 장면만 보더라도 충분히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처럼 보였는데. 그래서 나는 설 연휴를 맞아 영화 을 VOD 서비스로 시청하기로 했다. 영화 은 '핑크 스톰'이라는 해체 직전의 프로 여자 배구단의 감독을 맡은 송강호..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22. 6. 9. 14:13
칸 영화제 경쟁작으로 초대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내놓으라고 하는 배우인 송강호와 강동원, 배두나를 필두로 가수 활동을 하면서 멋진 배우 활동을 하고 있는 아이유(이지은)이 주연으로 참여하고, 많은 영화 팬들에게 각광받는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각본으로 참여한 영화 가 마침내 6월 8일(수)을 기준으로 국내에 개봉했다. 처음에는 영화 개봉 당일 극장을 찾아서 영화를 보고 싶었지만, 하필 당일에는 영화 개봉일이라는 사실을 잊고 있다가 저녁 늦게 영화 가 국내 관람객을 만날 수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래서 나는 가까운 롯데시네마에서 조조 영화로 볼 수 있도록 예약을 한 이후 오늘 6월 9일(목)을 맞아서 영화 를 보고 왔다. 영화는 제목 '브로커' 그대로 브로커(중개인) 역할을 하는 상현(역 송강호)과..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7. 8. 28. 07:30
지식에서 역사로 바뀐 광주 민주화 운동 지난 토요일(26일) 나는 영화관을 찾아 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를 보았다. 영화를 보기 전부터 이미 광주 민주화 운동을 다룬 영화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다. 덕분에 어느 정도 마음의 준비를 하고 영화를 봤지만, 영화를 보고 난 이후에는 가슴이 뻥 뚫린 듯한 허전함만 남았다. 내가 '광주 민주화 운동'이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던 때는 아마 중학교 시절이었을 것이다. 중학교 때 들은 정치 수업을 통해서 군부독재를 무너뜨린 민주화 운동의 대표적인 운동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6월 민주 항쟁이 있었다. 당시 수업 때 배운 건 날짜와 운동이 가진 의미가 전부였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6월 민주 항쟁이 있었기 때문에 우리가 군부독재를 이기고 민주주의를 지킬 ..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7. 5. 26. 07:30
JTBC 뉴스룸 목요 문화 초대석, 배우 송강호와 앵커 손석희의 멋진 만남 어제 JTBC 뉴스룸에서 배우 송강호와 앵커 손석희가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 방송되었다. 배우 송강호와 앵커 손석희는 많은 사람이 보고 싶어 했던 투 샷이라고 생각한다. 앵커 손석희는 공정한 보도를 통해서 대중적인 지지를 받고 있고, 배우 송강호는 에너지 넘치는 연기로 대중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배우 송강호와 앵커 손석희의 만남은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시작했다. 두 사람이 서로 처음 만났던 시절을 이야기하며 웃는 모습이 '이제야 블랙리스트 사건에서 벗어나 배우와 앵커가 다시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구나.'는 걸 느끼게 했다. 뭐, 이건 어디까지 개인적인 시선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배우 송강호를 알게 된 것은 우연히 추..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12. 23. 07:30
[영화 감상 후기] 어느 날, 한 변호인을 우연히 만났습니다. 어느 날, 홀로 쓸쓸히 길을 걷다 한 변호인을 우연히 만났습니다. 그 변호인은 상고를 나와서 대학에 가지 않고도 오로지 '포기하지 말자'는 의지의 힘으로 사법고시를 합격했습니다. 처음에는 사법고시에 합격하여 판사가 되었지만, 그는 돈을 벌고 싶어 변호인이 되었습니다. 다른 변호인들이 보지도 않던 등기소 일을 시작하며 나이트 클럽 삐끼처럼 명함을 돌리며 일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돈을 벌기 시작하면서 현실에 안주하기 시작했습니다. 돈은 그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었고, 명예를 가져다 주었고, 지위를 가져다 주었고, 부의 열쇠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문득 한 국밥 집의 아주머니와 청년을 만났습니다. 그 변호인은 '데모로 바뀔 만큼 세상은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