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12. 21. 07:30
저는 헬조선에서 살아가는 20대 청년으로 오늘을 고민합니다. '고독사'라는 단어는 홀로 남겨진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대상으로만 사용되는 단어라고 생각했다. 자식들을 다 키워서 밖으로 내보낸 이후, 자식들에게 미안해서 어떤 도움도 제때 받지 못하는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아무도 모르는 사이에 사망하는 사건을 일컬어 우리는 '고독사'라는 단어를 붙였다. 현재 급속히 고령화가 진행 중인 한국 사회에서는 쥐도 새도 모르게 죽어있었다는 고독사가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이미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일본에서도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노인분들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 혹은 봉사자의 도움을 얻어 예방하고 있다. 한국도 홀로 사는 노인분들을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를 도입하여 이런 고독사..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5. 6. 27. 07:30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서 알아가는 것도 공부입니다.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공부'를 말할 때는 언제나 시험을 대비해서 영어 단어를 외우고, 수학 오답 노트를 작성하는 등의 일을 의미한다. 한국 청소년 평균 공부 시간이 하루 8시간이라고 하는데, 이 수치는 OECD 국가 평균 시간보다 2시간 이상 더 많은 시간이다. (정말 대단한 한국 청소년들!) 아마 우리는 모두 비슷한 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청소년 시기에 운동부로 들어가서 운동을 하거나 일찍 취업을 목표로 대학이 아닌 다른 길을 선택한 사람이 아닌 이상, 우리는 책상에 앉아서 무턱대고 책을 펼쳐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와 수능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 발버둥 쳤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서 그렇게 한 공부에서 기억에 남은 게 별로 없다. ..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10. 16. 07:10
서울대생 자퇴선언, 지나친 입시위주 교육의 결과 지난주에 인터넷에 한 대학생의 자퇴서의 글이 올라오면서,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받았다. 자퇴를 하기로 마음먹은 학생은 이 대한민국에서 누구나 다 아는 유명한 대학교의 학생이었다. 바로 서울대학교. 많은 학생들이 가고 싶어하고, 많은 부모님들이 자신의 아이를 어떻게 해서든 보내고 싶어하는 그러한 서울대에서 자퇴를 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신의 자퇴서로 사회의 문제를 지적하였기 때문에 그 문제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다양한 의견이 표출이 되고 있다. 자퇴서의 성명으로 쓰여진 공현이라는 학생은 자신이 대학을 그만두는 이유를 아래와 같이 말했다. 제가 대학을 그만두는 이유는, 일단은 대학서열체제와 입시경쟁에 대한 문제의식 때문이고, 이번에 병역거부를 결심하고 준..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0. 10. 31. 07:00
아이들에게 체육 시간을 돌려주세요. 여러분들도 들으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서울대 자살에 관한 이야기를요. 서울대에 갔으면 무척이나 풍족한 생활을 할 것 같은데 왜 자살을 하는 것일까요? 저는 그 원인을 찾기위해 조금 거슬러 올라갔습니다. 언젠가부터 아이들의 시간표에서 체육시간을 찾아보기가 힘들어졌습니다. 저의 경우도 중학교 때 일주일에 최소 4시간이 있던 체육시간은 고등학교 때 1시간이 되어버렸지요. 이것은 교육부의 '쓸데없는 데 낭비하는 시간을 줄이고 필수과목을 공부하는데 더 시간을 투자하자'라는 명목하에서 진행된 정책의 결과입니다. 하지만 그 부작용은 조금씩 윤곽을 들어내보이다가 현재에 들어서 분명해졌습니다. 무슨 이야기냐구요? 뉴스에서 보도한 자료가 있습니다. 현재 '우리 아이들의 키는 그대로이지만..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0. 7. 5. 13:42
외고, 과고가 대학을 잘 가는 이유 뉴스를 보면 항상 외고, 과고가 대학을 잘 간다는 소식을 듣는다. 그리고, 지방학교 선생님들과 그 부모들은 차별이 이냐며 매번 문제를 야기 시킨다. 외고는 내신등급이 4등급인데도 붙고, 지방은 내신이 1등급인데도 떨어진다. 이유가 무엇인가? 왜 외고, 과고가 지방인문계 보다 더 좋은 대학을 갈 수 밖에 없는가?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의아해 할 것이다. 내가 간략히 설명을 해주도록 하겠다. 이에 말하기 앞서, 나는 일반 지방 인문계 출신이였음을 말해둔다. 내가 말하는 이 내용은 서울 노량진에서 강의하시는 "이충권"선생님께 들은 이야기를 토대로 나름 정리한 것이다. 외고,과고가 내신성적 비교해 보면 등급차가 지방이 더 높은데, 왜 외고,과고가 소위 SKY대를 더 잘가는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