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1. 30. 07:00
드라마 학교 2013이 우리 사회에 남긴 마지막 메시지 많은 사람의 관심 속에서 호평을 받으며 방영되었던 드라마 학교 2013이 끝을 맺었다. 그 끝도 기존에 드라마 학교 2013이 가졌던 본 의의를 져버리지 않고, 아주 훌륭히 완성하면서 많은 사람의 호평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나도 '딱 정해진 결말'이 아니라 '열린 결말'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주고, 지금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도 학교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한 결말이 상당히 좋았다. 아마 많은 사람이 마지막 화는 더 관심을 두고 보았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마지막 화에서 한 번 더 주의 깊게 보아야 할 몇 가지가 있었다. 평소 학교생활을 편안하게 하였거나 학교와 관련한 문제에 관심이 적은 사람은 단순히 '드라마'로서 보았겠..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1. 23. 07:00
드라마 학교 2013이 송하경과 길은혜를 통해 보여준 공부의 불편한 진실 지금 이 글을 읽는 사람 중에 '공부'라는 것이 욕심이 없었거나 욕심이 없는 사람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는 어릴 적에 부모님만이 아니라 주변 어른들로부터 항상 '공부, 공부, 공부'라는 말을 들어왔다. 무엇을 하든 '공부'가 가장 중요했고, 친·인척끼리 만나더라도 "공부는 잘하고 있느냐?"는 질문부터 먼저 했었다. 아마 이런 경험은 나만 아니라 많은 사람이 한 번쯤은 겪어보았지 않았을까 싶다. 공부가 중요한 것은 많다. 어떻게 공부가 중요하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하지만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 그 의미가 왜곡된 공부는 오히려 아이에게 독이 되는 법이다. 자신에게 도움이 되고, 사람이 되기 위해 하는 것이 공부이거늘, 요즘 많..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1. 15. 07:00
드라마 학교 2013이 보여준 부모의 잘못된 자식 사랑 우리 사회를 아프게 하는 청소년들의 범죄는 시간이 지날수록 조금씩 더 커지고 있다. 이런 청소년 범죄는 재발률이 상당히 높다고 한다. 이것은 잘못을 저지르는 많은 아이가 잘못을 깨닫지 못하고, 단순히 '장난'으로만 인식하여 범죄를 재발하는 것에 그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사실을 두고 '인성 교육의 부재'에서 원인을 찾는 사람도 있고, '성적 지상주의'에서 원인을 찾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나는 무엇보다 '부모의 잘못된 자식 사랑'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많은 청소년은 자신의 꿈을 꾸기보다는 부모님의 꿈을 대신 꿔야 한다. 자신의 의지대로 인생을 계획할 수 있는 것은 손톱의 때보다 더 적을지도 모른다. 그 정도로 많은 청소년이 자유..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2. 12. 20. 07:00
드라마 학교 2013이 우리에게 보여준 선생님과 부모님과 학생 간의 불편한 진실 난 최근 아주 많은 관심을 두고 보고 있는 드라마가 있다. 바로 '학교 2013'이라는 드라마인데, 이 드라마는 한동안 우리 사회에 큰 문제가 되었던 학교 문제를 다루고 있는 드라마이다. 그래서 나는 이 드라마를 매회 챙겨보며 얼마나 현실을 잘 반영했는지, 얼마나 그 문제를 많은 사람에게 똑바로 직시하게 하고자 노력하였는지를 지켜보고 있다. 아마 나만 아니라 많은 사람이 그렇지 않을까 싶다. 지난번 '대구 중학생 자살 사건' 이후에 우리나라 학교에서 벌어진 충격적인 소식들을 연이어 계속 들을 수 있었다. 그런 문제가 계속해서 언론에 보도되자 많은 정치인이나 교육과 관련된 사람들이 '해결책을 내놓겠다. 앞으로는 다시 이런 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