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7. 3. 21. 09:10
여전한 대학가 똥군기로 막 나가는 대학생들, 도대체 이유가 뭘까 대학 새 학기가 시작하고 나서 우리 언론에는 대학가 뉴스가 적지 않게 흘려 나오고 있다. 어느 대학은 신입생 OT를 가다가 버스 사고를 당했는데 알고 보니 소주 8.000병을 미리 준비해놓았다거나, 어느 대학은 일반 손님도 머무르는 리조트에서 새벽에 신입생들에게 PT 체조를 시키는 일도 있었다. 아마 지금 우리 언론에 보도되는 일을 하나부터 열까지 인용하면 끝도 없을 것 같다. 신입생을 향한 성추행 논란부터 시작해서 빨리 먹기 게임을 하다가 사망한 사건까지. '도대체 이게 뭐하는 짓이야?' 같은 의문이 저절로 드는 해괴망측한 사건은 해가 갈수록 더 그 수가 증가하는 것처럼 보인다. 대학가가 OT와 MT 시기에 문제가 일어나는 건 어제오늘의 ..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5. 2. 10. 07:30
아무리 예능이라고 하더라도 보기 좋지 않았던 군기와 서열 갑질 논란 매주 일요일 저녁마다 나는 와 두 개의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를 통해 볼 수 있는 아이들의 순수하고 귀여운 모습을 보면서 흐뭇한 웃음을 짓기도 하고, 을 통해 배가 아플 정도로 웃기는 상황을 보며 웃으면서 그동안 쌓인 일주일의 스트레스를 푸는 동시에 다가오는 월요일을 맞아 무거워지는 기분을 푼다. 그러나 종종 이런 프로그램을 보아도 썩 기분이 좋지 않을 때가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프로그램 내에서 조금 적절하지 못한 내용인 아닌가 싶은 부분이 방송될 때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 일요일에 방송된 은 KBS에서 일하는 기자와 함께 여행하는 기자 특집이었는데, 기자들과 함께한 적은 처음이 아니었기에 솔직히 기대하고 있었다. (시즌1 당시에도..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4. 3. 7. 07:30
바보 같은 한국 사람들의 서열을 중요히 여기고, 줄 세우기를 좋아하는 악습 우리 한국의 생활에는 전반적으로 뿌리 깊게 내려 있는 한국만의 특징이 드러나는 여러 문화를 자주 볼 수 있다. 이런 문화 중에서는 우리의 고유문화와 정체성을 보여주며 어디에서나 긍정적인 이미지로 작용하는 것도 있지만, 심각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문화도 적잖게 있다. 아마 이 글을 읽기 시작한 사람도 대충 그 문화가 어떤 문화인지 짐작이 갈 것이며, 그 문화로 인해 이(利)를 보았거나 해(害)를 본 사람도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자리를 펴고 하나부터 열까지 이야기하자면, 종일 이야기를 해야 할 정도로 그 끝이 없을 것이다. 이렇게 고쳐야 할 문화가 많음에도 굳이 내가 개인적으로 하나를 손꼽는다면, 우리나라의 발전을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