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3. 11. 11. 07:30
지금의 게임 중독법만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이유 요즘 게임 중독법을 두고 여기저기서 시끄러운 소리가 그치지 않고 있다. 특히 이번 주 11월 14일에는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기로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사람이 게임 중독법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고 있다. 게다가 게임 중독법을 찬성하는 사람보다 반대하는 사람이 더 많고, 열심히 게임중독법 반대 서명운동을 하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게임 회사도 가만히 있지 않고, 게임 중독법 반대 서명 운동을 홍보하며 '게임 중독법은 게임 산업을 망치는 일이다.'고 말하는 목소리에 힘을 주고 있다. 난 개인적으로 개인 중독법에 반대하는 사람 중 한 명이다. 게임 중독법의 비전이 무엇이든… 현실적으로 이 게임 중독법이..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2. 3. 29. 07:46
'안녕하세요'에 나온 게임폐인녀, 그냥 웃고 넘길 일 아니다. 지난 '안녕하세요' 라는 프로그램에는 '게임폐인녀'가 나왔다. 이 게임폐인녀는 20대였으며, 이 사연은 친구의 제보로 TV 방송을 타면서 알려지게 되었는데, 방송을 통해 볼 수 있었던 그녀의 행동에 대해 많은 사람이 입을 다물지 못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사람들이 놀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남자가 아닌 여자가 게임중독에 걸린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단순한 '카○라이더' 같은 여성 유저들에게 인기 있는 게임이 아닌 남성들에게 아주 많은 인기를 가지고 있는 FPS(1인칭 슈팅게임)이었다는 사실이었다. 이 사연의 주인공인 게임폐인녀는 하루 대부분 시간을 게임에 소비하는 것만이 아니라 일상 행동에서도 게임 내에서 하는 행동을 한..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2. 4. 07:29
왜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게임만을 취미로 하는 것일까? 최근에 학교폭력과 관련된 보도를 보면 학교폭력 가해 학생들과 '게임'을 자주 연관을 짓는것 같았다. 가해 학생이 '게임중독'이라는 일종의 병을 앓고 있어서 아이가 폭력성을 띄게 되었으며, 게임의 비현실세계를 현실세계와 구분을 하지 못하게 되어 현실에서 폭력을 행사하게 되었다고 말하고 싶은 듯하였다. 물론, 일부 잔인한 게임들이 아이들의 정서에 그러한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게임만으로 그 원인을 단정 짓는 것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고 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짓이다.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폭력성은 교육환경이 전반에 걸쳐 작용한 것이다. 게임중독으로 인한 아이들의 폭력성은 그 일부 중 하나일 뿐이다. 혹시 지금 이 글을 읽는 사람 중에서 어제 ..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10. 20. 07:15
왜 아이들은 가상세계에 빠져드는 것일까? 현재 우리가 현실세계보다 가상세계에서 보내는 시간은 기하학적으로 늘었다. 데스크탑 컴퓨터만 존재할 때, 사람들은 방에만 박혀서 컴퓨터를 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노트북을 넘어서 스마트패드, 스마트폰이 나오면서 어디서든 가상세계에 접속을 할 수가 있다. 이미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구분이 거의 사라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덕분에, 일반적으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인터넷중독','컴퓨터중독','게임중독' 같은 말은 그렇게 드물지 않은 말이다. 사실상 주위를 돌아보기만 해도 비정상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정도로 컴퓨터에 몰두를 하거나, 알지못하는 이야기만 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가깝게 보면, 자신도 어쩌면 인터넷중독이나 컴퓨터중독일지도 모른다. 특히..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0. 4. 12. 20:05
게임중독의 피해를 막기위해 청소년 게임심야접속을 제한한다고 한다. DMB KBS 뉴스를 보다가 접했다. 거기서 들린 단어는 넥슨 과 '바람의나라 등 ' 이라는 말 .... 갈수록 악영향이 늘어나는 게임중독. 과연 이 프로젝트가 어디까지 효과가 있을 지 기대된다. 하지만, 한 가지 문제점이 있다면 부모님의 주민번호로 생성된 계정을 사용하는 아이들은 그 플레이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한데....이것이 관건이다. 또한, 게임중독은 청소년에게만 있는게 아니라 20대, 30대 등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걸로 몇일 전 뉴스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차라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자정부터 아침7시까지 아예 게임서비스 작업을 중단시키는 게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그렇게 되면, 게임회사의 영업권을 너무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0. 3. 6. 08:59
몇일전 YTN뉴스레터를 통해 접하게 된 소식이다. [ 게임중독 3개월 된 딸 굶어 죽게한 부부 ] 정말이지 최근 게임중독의 피해가 심각하다. 게임중독자가 자신의 친엄마를 살해한 한 학생. 게임중독자 부부가 3개월 된 딸을 굶게한 부부. 그리고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 이와같은 유사한 사례가 수두룩히 넘쳐나고 있다. 중독이란, 자신의 욕구를 절제하지 못하고 그것에 빠지는 것을 말하는데 게임중독은 아주 노출수가 심해 그 수치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 그에따른 피해도 계속해서 늘어만 가고 있다. 그 규모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사건의 심각도도 높아지고 있다. 도대체 어디까지 그 피해가 커질지 정말 걱정이다. 나도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다. 하지만, '중독'이라고 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보통 6시간 이상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