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23. 11. 7. 08:31
평소 로또 복권과 연금 복권을 구매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는 동행복권 홈페이지가 외부 해킹 공격을 받으면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현재 동행복권 홈페이지를 방문한다면 읽어볼 수 있는 공지사항에는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에 만전을 기해왔음에도 이러한 사고가 발생한 것에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적혀 있다. 그리고 가능한 비밀번호를 변경해 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아마 동행복권 홈페이지에 가입할 때 기입한 메일 주소로 아래와 같은 메일을 받은 사람이 적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홈페이지 공지에는 모든 회원인지, 일부 회원인지 언급이 되지 않았지만, 아마 적지 않은 회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번에 유출된 개인정보는 회원 아이디,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7. 6. 1. 07:30
처음 겪어본 보이스피싱 전화, 왜 사람들이 속는지 알 수 있었다 한때 한국 사회에서 보이스피싱 사건이 대대적으로 번지면서 개그 소재로 사용된 적이 있다. 지금도 보이스피싱 조직은 화려하게 움직이고 있고, 종종 경찰관이 기지를 발휘해 보이스피싱 조직을 검거하거나 실수로 일반인을 범인이라고 생각해 심각한 폭력을 가한 사건이 보도되기도 했다. 그동안 보이스피싱은 늘 기사를 통해서 만난 사건이었다. 하지만 어제 처음으로 보이스피싱 사건에 연루되는 일이 발생했다. 어머니께 걸려온 보이스피싱 전화는 금융감독원을 사칭하며 걸려온 전화가 아니라 '지금 아들이 버스에서 행인과 싸움이 일어나 돈이 필요하다.'는 낚시성 전화였다. 학교에 도착해서 어머니께 부재중 전화가 와 있어서 전화를 해봤더니 어머니께서 그런 보이스 피싱..
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12. 1. 14. 07:01
로또만큼 확률이 낮은 경품 이벤트, 그 속을 살펴보니… 일반적으로 로또를 사는 사람들의 심리는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로또를 구매하게 된다. 로또를 구매할 때에는 그저 한 게임당 돈 천 원을 지급하면 되므로, 손쉽게 구매을 할 수가 있다. 그러한 이유로 로또와 같은 복권은 경기가 어려울 때마다 많은 사람이 사게 된다. 필자도 로또를 재미를 위한 즐거움과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매주 5천원씩을 사고 있다. 그러나 사실상 기대만큼 큰 당첨이 되지 않는 것이 기정사실이다. 5천원에 당첨이 되었던 적이 여러 번 있지만, 그 이외에는 매번 2개씩을 맞추거나 '5게임에 퍼져 있는 숫자를 다 합치면 1등 당첨이었는데….'라고 안타까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도 나는 여전히 주말의 즐거움과 혹시나 모르는 마음 ..
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11. 10. 9. 07:11
속을 수밖에 없었던 스팸문자, 어떻길래? 휴대폰으로 스팸문자가 날라오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아무리 자신의 개인정보를 잘 관리하고 싶어도, 도대체 어디서 이런 개인정보들이 줄줄 세어나가는지 알 수가 없어요. 대표적으로 개인정보도용확인 사이트로 유명한 사이렌24 같은 곳을 가끔 무료체험으로 이용해볼 때, 자신의 주민번호과 왜 그렇게 많이 사용되었는지 놀라고는 하지요. 애초에 대부분의 스팸문자가 '나 스팸이오.'하면서 오지만, 일부는 '내가 스팸일까? 아닐까?'하는 식으로 문자가 오기도 합니다. 그러한 스팸에 익숙해진 많은 사람들이 '이거 딱 스팸이네.'라고 생각하면서 대부분 구별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생각지도 못한 타이밍에 생각지도 못한 문구로 오면 가끔 속을 때가 있습니다. 제가..
정보/블로그 관련 노지 2011. 9. 23. 07:05
개인정보 유출, 실제로 아이디를 도용 당해보니 최근에 개인정보 유출에 관해서 많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사건을 보면서도 마음 한 구석에는 '난 안당할거야.'라는 생각이 있었지요. 아마, 이것은 저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똑같이 생각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아니면 말고요...ㅋ) 왜냐하면, 옛날에 게임 아이디를 해킹당했던 적은 있었지만, 실제로 다음이나 네이버같은 큰 포털 사이트의 아이디를 해킹 당할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했었거든요. 그런데, 그 일이 어제 일어나고 말았습니다. 자세한 이야기를 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점심을 먹고, 청소와 빨래를 너는 등의 집의 잡일을 끝내고, 아이팟으로 블로그에 들어가려고 하니, 들어가지지가 않더군요. 혹시나 아이팟의 일시적인 오류현상일지도 모른다는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1. 8. 28. 08:49
개인정보유출, 회원가입 제도가 바뀌어야 예방된다. 개인정보유출. 요즘 이 말이 우리에게는 심심하지 않게 접할 수가 있다. 가깝게는, 요 며칠전에 국내에서 손가락 안에 드는 중요 포털 사이트 중 하나인 네이트에서 대량의 개인정보유출이 발생했다. 그 사건으로 인하여 지금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주민번호를 도용당해 신용카드가 발급이 되거나, 통장에서 돈을 빼내거나, 협박성 스팸문자가 오는 등의 각종 다양한 행위로 인해서 말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개인정보유출을 막기 위해서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일까? 대부분의 포털사이트에서는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바꿔라.'라고만 말을 하고 있다. 하지만, 나는 그런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지킬 수 있는 확률이 아주 조금만 올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