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0. 10. 26. 06:48
꿀을 얻으려면 벌통을 걷어차지 말라 보통 우리들은 어떤 사람의 결점이나 잘못을 다른 방향으로 고쳐주기보다는 우선적으로 비판을 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것이 잘못되어 있다는 것을 대부분 잘 모르지요. 비록 아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우선적으로 그 사람을 비판하고 보는 것은 사람들에게 워낙 익숙한 습관이기 때문에 고치기가 여간 쉽지가 않지요. 이것의 사소환 에피소드들은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주위에서 금방 찾으실 수 있으실겁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심리학자인 스키너는 그의 실험을 통하여 선행에 대해 칭찬을 받은 동물은 나쁜 행동에 대해 벌을 받은 동물보다 훨씬 더 빨리 배우고, 훨씬 효과적으로 배운 것을 습득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그 이후의 연구들도 이와 같은 사실이 인간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보..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0. 10. 21. 06:47
야한 생각하는게 무조건 잘못일까? 우리 사람들은 창조적인 생각을 하기위해서 참 희안한 이런저런 생각들을 많이 합니다. 거기서 하게 되는 것중 하나가 바로 이 야한 생각인데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야한 생각이 우리가 사는데에 정말 한치도 필요없는 불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공부하면서 적절한 운동도 필요하듯이,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데 야한 생각도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에 포스팅 했던 하나의 글에서 저는 사람의 금기가 ' 도박하는 것과 성(姓)을 밝히는 것' 이라고 언급했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야한 생각을 하는 것과 성(姓)을 밝히는 것은 아주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정철상교수님의 ' 심리학이 청춘에게 묻다 ' 책에서 이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