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3. 6. 6. 07:00
담배보다 나쁜 독성물질 전성시대, 내 아이 몸에 독이 쌓이고 있다 클렌징을 이용하여 세수를 하고, 바디 샴푸를 이용하여 샤워를 하고, 샴푸와 린스를 이용하여 머리를 감고, 삼각김밥과 라면, 햄버거 등으로 끼니를 때우고, 합성 세제로 설거지를 하고, 길거리를 걸어 다니며 간접흡연 속에 노출되고, 썩은 환경에서 술을 마시고, 오고 갈 때 자동차의 배기가스를 마신다. 이런 생활은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생활이다. 우리는 이런 생활을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지만, 이 생활방식은 우리에게 썩 좋지 못한 생활방식이다. 편리함 때문에 이런 생활 방식을 고수하는 경향이 짙지만, 우리가 하는 생활 방식을 통해 얼마나 우리 몸에 악영향이 미치고 있는지 알게 된다면… 과연 우리는 이 생활 방식을 유지할 수 있을까? 아마 어렵..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3. 6. 5. 07:00
성매매, 금품갈취에 악용되는 채팅어플, 스마트폰 채팅어플은 사회적 재앙인가? 요즘 주변에서 스마트폰을 쓰지 않는 사람을 보기 어렵다. 초등학생부터 시작하여 거의 전 연령대가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스마트폰이 사람들의 생활 속으로 깊숙이 들어오면서 스마트폰으로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폰을 더 스마트하게 이용하며 일상생활에 큰 유익함을 주기도 하지만, 여러 범죄에 악용되면서 그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채팅어플'을 이용한 범죄는 날이 갈수록 점점 더 높이 치솟고 있다. 아마 지금 이 글을 읽는 사람 중에서도 인터넷 뉴스나 TV 뉴스 방송을 통해 '채팅어플을 이용한 성매매', '채팅어플을 이용해 미성년자와 성매매하려던 20..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3. 6. 4. 08:30
송일국 서명운동, 서경덕 교수와 함께 '한국사 필수과목'만든다, 왜? 요즘 뉴스를 통해 들을 수 있는 '일베 사건'과 '뉴라이트 교과서 사건'을 보면, 정말 속이 타들어 가는 듯하다. 아마 이런 감정을 느끼는 건 나만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최근 큰 논란이 된 일베에서 터뜨린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북한 괴뢰군이 개입한 5·18 항쟁이다'고 주장하는 부분은 정말 많은 공분을 샀었다. 또한, 이처럼 역사를 왜곡하는 사람들만이 아니라 왜곡된 역사를 사실로 믿는 사람들, 그동안 우리 조상이 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으로부터 지켜온 역사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우리는 이런 현상을 지켜보며 '이런 방식으로 더는 나아가서는 안 된다.'고 자각하고 있지만, 모두 어떻게 해야 ..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6. 4. 07:00
[강연100℃] 정주영, 콩으로 건강을 되찾다 우리 한국에서는 정말 외모 지상주의가 강하다. 아마 굳이 내가 여러 이유를 말하지 않더라도 외모로 많은 차별이 있다는 사실을 이미 많은 사람이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얼마 전에 보도되었던 'SBS 스페셜 양악수술'편을 통해서도 전 세계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모를 위해 턱을 깎는 위험한 수술을 거리낌 없이 한다고 전해졌다. 강남을 관광하고 돌아가는 외국인들도 "강남에서 파는 명품은 진짜(Real)이지만, 강남에서 본 사람들은 가짜(Fake)였다."고 말할 정도로 우리나라의 외모 지상주의가 말미암은 성형은 정말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런 사회환경 속에서 뚱뚱하거나 남과 다른 조금 특이한 외모를 지닌다면, 우리는 '다르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거침없는 공격을 받..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3. 6. 3. 07:00
[강연100℃] 개그계의 달인 김병만, 실패할 수도 있다 우리는 모두 실패를 무척이나 싫어한다. 실패를 좋아하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실패를 두려워해 도전조차 하지 않는다면, 그건 실패를 하는 것보다 더 좋지 못하다. 누군가는 '그냥 현상유지가 좋지.'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아니다. 그렇지 않다. 실패가 두려워 현상 유지를 하려는 사람들은 오히려 더 나빠지기 일쑤다. 상황은 바뀌고 있는데, 아무것도 하지 않으니까. 그런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실패하는 사람은 그 실패를 통해 한 걸음 더 앞으로 내디딜 수 있게 되고, 결국 그 손에 '성공'을 쥐게 된다. 그게 성공하는 사람과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의 결정적인 차이다. 지난주 강연100도씨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개그맨 김병만이 출연했다. 그는 지금 성..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3. 6. 2. 07:30
태도의 차이, 마이클 샌델에서 존 헌츠먼까지 일가를 이룬 거인들의 위대한 인생특강 "성공하려면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어떻게 하면 부자가 될 수 있나요?" 위 두 질문은 현시대를 사는 많은 사람이 항상 답을 얻고 싶어하는 질문이다. 세상에서 성공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디에 있겠으며, 부자가 되어 편안한 삶을 살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딨겠는가? 지금 이 글을 쓰는 나도 성공하고 싶고, 부자가 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아마 지금 글을 읽는 독자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그렇게 두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많은 책을 읽고, 많은 명사의 인생특강을 듣는다. 이런 질문을 많은 사람에게 하다 보면, 어떤 사람은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부를 잘해야 한다.", "빽이 있어야 한다." 등의 답을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3. 6. 1. 07:00
뉴라이트 검정 교과서의 역사왜곡, 친일파에게 정의는 죽었다 우리가 스스로 "나는 대한민국의 국민이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건 왜일까? 대한민국이 국적으로 되어 있어서? 대한민국 영토에 살고 있어서? 한글을 사용해서?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물리적인 이유보다도 가장 큰 건 바로 정신적인 이유다. 스스로 '나는 대한민국의 역사를 알고,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소중한 역사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나는 대한민국의 국민이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에 분노하고, 우리나라 역사를 지키려고 하는 모든 태도는 바로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역사의식이 우리가 사는 지금, 그 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 왜냐고? 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3. 5. 31. 07:00
연예인 억대 조공 논란, 이제는 바뀌어야 할 연예인과 팬의 문화 며칠 전에 인터넷 실시간 검색어에 '연예인 억대 조공 실체'어가 올라온 것을 문득 보았다. 나는 '어느 연예인이 자신의 신분을 이용하여 팬들로부터 고가의 상품을 받아낸 건가?'라는 의아심으로 글을 검색해보았는데, 인터넷과 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연예인 억대 조공의 실체는 가관이었다. 이 억대 조공 논란의 주인공은 10대 팬들이었는데, 이들은 부모님께 거짓말까지 일삼으며 돈을 모아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을 위해 수십만 원짜리 도시락을 배달시키거나 팬카페 회원끼리 돈을 모아 생일마다 상당한 고가의 상품을 선물하고 있었다. 아무리 연예인을 열렬히 좋아하는 팬이라지만, 이건 그 수준에서 조금 지나친 게 아닐까? 우리나라에서 '연예인'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