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4. 23. 07:26
왜 우리는 학벌주의 사회를 벗어나지 못할까? 우리나라의 교육은 시작과 끝은 '명문대, 좋은 학벌'이다. 아니, 끝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옳지 못한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대학을 졸업하고서도, '좋은 직장(이름있는 직장)'을 가기 위해서 아등바등하고 있으니까. 어떻게 해서든 남들보다 조금이라도 더 좋은 대학, 더 좋은 직장을 가기 위해서 매일같이 많은 학생과 학부모가 애를 쓰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것을 학벌주의라고 부른다. 학벌주의는 출신 학교의 지위를 중요하게 여기는 입장이나 태도, 개인의 재능이나 능력은 잘 고려하지 않고 높은 학력을 중요하게 여기는 입장이나 태도라는 사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학벌주의는 고등학교 때부터 심해지지만, 최근에는 유치원부터 시작해서 그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1. 10. 16. 07:10
서울대생 자퇴선언, 지나친 입시위주 교육의 결과 지난주에 인터넷에 한 대학생의 자퇴서의 글이 올라오면서,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받았다. 자퇴를 하기로 마음먹은 학생은 이 대한민국에서 누구나 다 아는 유명한 대학교의 학생이었다. 바로 서울대학교. 많은 학생들이 가고 싶어하고, 많은 부모님들이 자신의 아이를 어떻게 해서든 보내고 싶어하는 그러한 서울대에서 자퇴를 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신의 자퇴서로 사회의 문제를 지적하였기 때문에 그 문제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다양한 의견이 표출이 되고 있다. 자퇴서의 성명으로 쓰여진 공현이라는 학생은 자신이 대학을 그만두는 이유를 아래와 같이 말했다. 제가 대학을 그만두는 이유는, 일단은 대학서열체제와 입시경쟁에 대한 문제의식 때문이고, 이번에 병역거부를 결심하고 준..
문화/문화와 방송 노지 2010. 10. 27. 06:47
나에게 사진을 가르쳐준 애니메이션 여러분들은 자신이 하고 있는 취미의 발상지가 어디신지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취미활동에는 어디서 그것을 하게 된 근본적인 계기가 있을 것입니다. 부모님이 시켜서 했다던가, 우연히 해봤는데 그 재미에 빠졌다던가, 저처럼 애니메이션을 통해 접했다가 재미에 빠져버린 경우가 말이지요. 현재 블로그에도 개인적으로 찍은 많은 사진들을 올리고 있습니다. 평소에 사진을 찍는 것을 좋아하긴 했지만, 본격적으로 어떠한 사진을 찍기위해 디카를 산 것은 수능이 끝나고 나서였습니다. 제가 하늘 사진 찍기를 좋아하게 된 이유는 어떠한 애니메이션을 보았기 때문이었지요. 그 애니메이션의 제목은 ' 소라(Sola) ' 였습니다. 이 애니메이션의 남주인공이 하늘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10. 2. 15. 19:41
2010년 2월 15일 당시 찍은 것과 이전에 찍었던 것들 입니다. 구름이 꼭 뱀 같더군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