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7. 19. 08:20
반기문은 어떻게 꿈을 키웠을까? 반기문이 말하는 공부 잘하는 방법 우리나라 사람들은 과거 '우리나라에는 세계적인 지도자가 탄생할 수 없다.'라는 패배의식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좋지 않은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등장으로 많은 사람이 '할 수 없다.'에서 '우리도 할 수 있다.'로 생각할 수 있게 되었고, 우리라도 못할 것이 없다는 도전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등장은 그렇게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하나의 큰 목표로 자리잡아 아주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이 그리 썩 좋은 역할만 한 것이 아니다. 많은 사람이 반기문의 앉아있는 높은 성공의 의자에만 눈독을 들였지, 어떻게 해서 반기문이 그 의자에 앉을 수 있었는지는 제대로 알지 못했다. ..
문화/독서와 기록 노지 2012. 7. 9. 07:27
반기문, 바보처럼 공부하고 천재처럼 꿈꿔라 시즌2를 읽고 이 글을 시작하기 전에 나는 이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한 가지를 묻고 싶다. 당신은 '성공'이라는 것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아마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여러 가지가 나올 것으로 생각한다. 사람들이 생각하는 성공의 기준이 다를 뿐이지, 사람들이 답하는 답이 다르다고 하여 누구는 틀리고, 누구는 맞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나는 그 답 중에서 '인생을 성공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답'과 '그저 정지해있는 것처럼 살아갈 수밖에 없는 답'은 나뉜다고 생각한다. 사람은 꿈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살아야 하며,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배움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 그래야만 사람은 '성공'이라는 것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으며, 인생을..